4·10 총선이 국민의힘의 참패로 막을 내리면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도 적지 않은 정치적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한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26일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해 이날까지 106일간 선거전을 진두지휘했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대패한 이후 여권에서는 당시 법무부 장관이던 한 위원장의 등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고, 한 위원장은 '9회말 2아웃에서 타석에 선 대타'를 자처하며 이에 응했다.
한 위원장이 키를 잡은 직후인 국민의힘 지지율은 상승세를 탔다. 방문하는 지역마다 지지자들이 몰렸고, '여의도 문법'을 탈피한 그의 언행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그러나 총선이 가까워질수록 지지율이 정체되면서 '한동훈 효과'가 한계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 위원장의 '원톱' 선대위 체제에 대한 의구심도 당 안팎에서 제기됐다.
대통령실발(發) 각종 논란도 한 위원장의 발목을 잡았다. 비대위원장 취임 직후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부터 총선 목전에 불거진 이종섭·황상무 논란에 의정 갈등까지 악재가 수시로 터져 나왔다.
특히 각종 논란에 대한 수습 방향을 둘러싸고 윤석열 대통령과의 갈등이 불거졌을 때 한 위원장이 확실히 선을 긋지 못하고 기울어진 당정 관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인 점이 그에게 뼈 아픈 총선 성적표로 돌아왔다는 분석도 있다.
당내에서는 한 위원장이 '정치 초보'라는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직능 대표를 제외한 비례대표 공천, 정권심판론이 어느 때보다 거센 상황에서 자세를 낮추기보다 '이·조(이재명·조국) 심판'에 초점을 맞춘 선거 캠페인 등을 두고 당내에서 새어 나오던 볼멘소리는 공개적인 불만과 비판으로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위원장이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비대위원장직 사퇴 결단을 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4년 전 '보수의 구원자'로 기대를 모았지만, 총선 당일 늦은 밤 사퇴한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대표의 전철을 밟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사퇴 후에는 외국으로 떠날 가능성도 거론된다. 그의 '총선 후 유학설'은 선거전이 이어지는 동안 꾸준히 제기돼왔다.
하지만 여권 내 '대안 부재론'과 이번 대패가 오롯이 한 위원장 책임이 아니라는 '옹호론'도 만만치 않아 사퇴하지 않고 당 수습에 전념할 수도 있다.
오히려 한 위원장이 없었더라면 더 큰 참패를 당했을 것이라는 의견과 정부의 실기를 한 위원장이 그래도 어느 정도 막아냈다는 반론도 없지 않다.
앞서 한 위원장은 총선 유세 때 "내가 선거 끝나면 유학을 갈 것이라는 얘기가 있던데, 나는 뭘 배울 때가 아니라 여러분을 위해 공적으로 봉사할 일만 남았다"며 이를 부인한 바 있다.
이재묵 한국외대 교수는 "패배한 국민의힘 내에서도 구심점이 필요할 텐데, 당내에 그 역할을 할 만한 거물급 정치인이 잘 보이지 않는다"라며 "한 위원장이 다시 우뚝 설 수 있을지는 그가 정치적 역량을 어떻게 발휘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조시형 기자
jsh1990@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