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5.06
(151.36
6.60%)
코스닥
681.79
(38.40
5.97%)
  • 비트코인

    117,087,000(-2.71%)

  • 이더리움

    2,229,000(-4.01%)

  • 리플

    2,876(-3.12%)

  • 비트코인 캐시

    423,500(-2.39%)

  • 이오스

    918(-2.91%)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2,764(-2.37%)

  • 이더리움 클래식

    21,250(-2.61%)

  • 비트코인

    117,087,000(-2.71%)

버튼
가상화폐 시세 관련기사 보기
  • 비트코인

    117,087,000(-2.71%)

  • 이더리움

    2,229,000(-4.01%)

  • 리플

    2,876(-3.12%)

  • 비트코인 캐시

    423,500(-2.39%)

  • 이오스

    918(-2.91%)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 퀀텀

    2,764(-2.37%)

  • 이더리움 클래식

    21,250(-2.61%)

정보제공 : 빗썸 닫기

"은행에서 부동산·증시로 뭉칫돈"…시중자금 '대이동'

입력 2024-08-11 08:28   수정 2024-08-11 08:46

은행에서 부동산증시로 뭉칫돈시중자금 대이동

가계대출 증가세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8일 기준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18조2천130억원으로, 7월 말(715조7천383억원) 이후 8일간 2조4천747억원 더 불었다.

주택매매 회복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이 1조6천404억원 늘어난 데다, 신용대출까지 8천288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을 일반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 대출)으로 나눠보면, 마이너스통장의 증가 폭(5천874억원)이 더 크다.

이렇게 불어난 신용대출은 최근 폭락 장과 관계가 있다.


블랙 먼데이 당일 5대 은행의 신용대출(108조3천933억원)은 전월 말(102조6천68억원)보다 5조7천865억원이나 뛰었다.

특히 같은 날 4천31억원 늘어난 마이너스통장 잔액(39조6천666억원)은 8일 현재까지 비슷한 규모(39조6천678억원)를 유지하고 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마이너스통장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다시 급락 등 투자 기회를 노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개인 요구불예금은 8일 현재 358조9천219억원으로, 7월 말(362조1천979억원)과 비교해 불과 8일 사이 3조2천760억원 급감했다.

코스피지수가 8.77% 떨어진 지난 5일 '블랙먼데이' 당시 하루 만에 2조366억원(360조1천539억원→358조1천173억원)의 요구불예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갔다.

반면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의 경우 블랙 먼데이 하루에만 5조6천197억원(53조8천679억원→59조4천876억원)이 증가했다. 이후 다소 줄었지만, 8일 현재(55조1천217억원) 여전히 7월 말(54조2천994억원)보다 8천223억원 많은 상태다.


개인투자자들은 대출 등으로 마련한 자금을 주로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5일 개인은 'KODEX 레버리지'와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를 각 4천382억원, 1천617억원어치나 순매수했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의 일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결국 개인 투자자들이 은행 등으로부터 빌린 돈으로 최대한의 레버리지(차입투자) 효과를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9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코픽스 기준)는 연 4.290∼6.514% 수준으로, 약 1주일 전인 지난 2일(연 4.030∼6.548%)보다 하단이 0.260%p 올랐다.

지표 금리인 코픽스는 3.520%에서 변화가 없었지만, 은행들이 앞다퉈 가산금리 추가 등을 통해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인상한 결과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연 3.280∼5.290%) 하단 역시 같은 기간 0.250%p 뛰었다. 오름폭이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0.020%p)의 12배를 웃도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집값이나 주식의 기대 수익률이 높다면 현재 연 4% 남짓 수준의 대출 금리는 대출자들에게 큰 제약이 되지 못하는 것 같다"며 "금리 인상에도 지금 추세대로 가계대출이 계속 빠르게 늘어나면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취급 제한, 한도 축소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

관련뉴스

랭킹뉴스 더보기

가상화폐 시세 기사 보기 +

    • 비트코인

      117,087,000(-2.71%)

    • 이더리움

      2,229,000(-4.01%)

    • 리플

      2,876(-3.12%)

    • 비트코인 캐시

      423,500(-2.39%)

    • 이오스

      918(-2.91%)

    • 비트코인 골드

      1,313(-763.82%)

정보제공 : 빗썸

온라인에서 만나는 '한경TV LIVE'
  •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 굿모닝 작전 트럼프로 살아난 美증시, 韓도 '폭등' 기대
  • 오늘장 뭐사지? 관세 90일 유예, 국내증시 급등!
  • 주식 콘서트 - 변동성 장세 단기 핵심 유망주 大공개! | 이동근
  • 와우글로벌 Oh My God [LIVE] 궤도 바꾼 트럼프, 중국만 ‘125%’ 관세폭탄 | 3월 CPI 예상치 하회 | ‘AI칩 수요 견조’ TSMC, Q1 매출 42%↑ | Oh My Godㅣ04/10

한국경제TV

24시간 LIVE 채팅참여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
광고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