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윤선영(45)씨는 최근 가수 싸이의 '흠뻑쇼'에 보내달라는 고등학교 1학년 자녀에게 티켓을 사주며 크게 놀랐다. 친한 친구들이 다 간다니 아이만 안 보낼수는 없어 허락했지만, 가격이 너무 비쌌던 것이다.
가장 저렴한 스탠딩석은 16만5천원으로, 학생 할인 20%를 적용해도 13만원이 훌쩍 넘었다. 용돈과 교통비 등까지 합하면 약 20만원은 써야 할 상황이었다.
윤씨는 "몇 년 전 '등골 브레이커'(등골이 휠 정도로 부담이 가는 비싼 상품)로 악명 높던 고가 패딩은 한 번이면 됐지만 콘서트는 1년에도 여러 번, 매년 반복된다"고 말했다.
17일 인터파크 티켓에 나온 올해 흠뻑쇼 예매자 통계에 따르면 10대는 전체의 5% 안팎이다. 2022년의 1∼2%대와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K팝 아이돌의 콘서트 티켓 가격도 대체로 일반석 15만원, VIP석은 약 20만원 선이다. 콘서트 가격은 최근 몇 년 새 30∼50% 올라 이제는 해외 팝스타의 내한 공연 가격과 비슷해졌다.
올해 4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그룹 세븐틴의 콘서트 티켓 가격은 13만2천원∼19만8천원이었다. 5월 NCT 드림의 고척스카이돔 콘서트도 15만4천원∼19만8천원이었다. 이들 그룹은 2019년만 해도 콘서트 가격이 12만1천원이었다.
K팝의 인기가 전세계로 퍼지도 아이돌 몸값이 천정부지로 오른 영향이다. 게다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억눌려 있던 페스티벌·콘서트 수요가 폭발하자 티켓값은 순식간에 올랐다.
문제는 미성년자 팬들의 공연 관람 비용이 부모에게 전가된다는 점이다.
공연뿐만 아니라 가수의 팬 미팅, 앨범, 굿즈 등도 사야한다.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상술 때문에 비용은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꼴이라고 부모들은 입을 모은다.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이모(47)씨는 "마냥 못 사게 할 수도 없고, 혹시 아이가 잘못된 방법으로 돈을 구할까 봐 종종 원하는 것을 사주지만 부담된다"며 "물가 상승을 고려해도 옛날보다 너무 많이 오른 것 같다"고 말했다.
표를 구하지 못한 아이를 위해 40만원을 들여 암표를 사줬다는 다른 학부모는 "아이는 콘서트에서 하는 '덕질'이 학업에 동기부여가 된다고 하지만, 올바른 경제관념을 심어주지는 못하는 것 같아 회의감이 든다"고 했다.
업계는 이유가 있다고 항변한다. 무대 설치비용, 대관료, 출연료 등 전반적인 물가가 몇 년 전보다 크게 뛰었다는 것이다. 이태원 참사 이후 다중인파 안전관리 비용도 많이 늘었다고 한다.
한 연예기획사 관계자는 "가격이 올라도 옛날과 비교해 순수입은 별반 차이가 없다"며 "티켓값에 대한 지적을 고려해 공연 가격을 유지할 경우 어쩔 수 없이 굿즈 판매 등의 수익으로 메꾸게 되는 측면이 있어 팬 지출에는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팬덤에만 의존하고 상업화된 공연·아이돌 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과열 양상을 식힐 수 있다고 말한다.
김정섭 성신여대 문화산업예술대학원 교수는 "사람과 음악이 중심이 아닌 시스템과 자본으로 산업의 중심이 옮겨간 점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