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시민단체가 평가한 우리나라의 예산투명성지수가 100개국 중 8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제예산협력체(International Budget Partnership·IBP)가 발표한 2012년예산투명성지수(Open Budget Index·OBI)에 따르면 한국의 순위는 8위로 2010년보다두 계단 올랐다.
OBI는 예산 편성ㆍ집행ㆍ결산ㆍ감사 등 과정의 적절성, 시의적절한 예산 서류의공개 여부, 국회와 감사원의 통제시스템 구축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뉴질랜드가 1위를 기록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이 2위, 영국이 3위, 스웨덴이 4위, 노르웨이가 5위, 프랑스가 6위, 미국이 7위 등 순이다.
한국은 OBI 평가 항목 중 국민참여 부문에서 평가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은 92점을 받았다. IBP는 한국이 국가재정운용계획 공개 토론회, 지방재정 협의회 등을 운영 중이라고 소개했다.
IBP는 정부예산을 분석하고 예산편성 과정과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1997년에 조직된 시민단체(NGO)다.
2006년부터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재정 투명성 기준에따라 각국의 예산 투명성을 조사해 2년마다 OBI를 발표하고 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2일 국제예산협력체(International Budget Partnership·IBP)가 발표한 2012년예산투명성지수(Open Budget Index·OBI)에 따르면 한국의 순위는 8위로 2010년보다두 계단 올랐다.
OBI는 예산 편성ㆍ집행ㆍ결산ㆍ감사 등 과정의 적절성, 시의적절한 예산 서류의공개 여부, 국회와 감사원의 통제시스템 구축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뉴질랜드가 1위를 기록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이 2위, 영국이 3위, 스웨덴이 4위, 노르웨이가 5위, 프랑스가 6위, 미국이 7위 등 순이다.
한국은 OBI 평가 항목 중 국민참여 부문에서 평가대상국 가운데 가장 높은 92점을 받았다. IBP는 한국이 국가재정운용계획 공개 토론회, 지방재정 협의회 등을 운영 중이라고 소개했다.
IBP는 정부예산을 분석하고 예산편성 과정과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1997년에 조직된 시민단체(NGO)다.
2006년부터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재정 투명성 기준에따라 각국의 예산 투명성을 조사해 2년마다 OBI를 발표하고 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