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ㆍ달러 환율이 대북 리스크 고조로 크게 올라1,070선을 돌파했다.
2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는 전 거래일보다 5.80원 오른 1,074.50원으로 장을 마쳤다. 지난해 12월20일 1,074.70원을 기록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 상승을 반영해 0.3원 오른 1,069.00원에 개장해 등락을거듭하다가 정오께부터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했다. 북한이 '남한이 유엔제재에 동참하면 물리적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위협해서다.
또,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5천억원 넘게 순매도한 점도 환율 상승에 일조했다.
우리선물 김영정 연구원은 "대북 리스크와 증시에서 외국인 매도, 박재완 장관의 환시 개입 발언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줘 원ㆍ달러 환율이 오른 것 같다"며 "1,070선에서 저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날 쉽게 뚫렸다"고 말했다.
오후 3시20분 현재 원ㆍ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00엔당 2.41원 오른 1,186.99원에 거래됐다.
pseudoj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는 전 거래일보다 5.80원 오른 1,074.50원으로 장을 마쳤다. 지난해 12월20일 1,074.70원을 기록한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환율은 역외 환율 상승을 반영해 0.3원 오른 1,069.00원에 개장해 등락을거듭하다가 정오께부터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했다. 북한이 '남한이 유엔제재에 동참하면 물리적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위협해서다.
또, 외국인이 유가증권시장에서 5천억원 넘게 순매도한 점도 환율 상승에 일조했다.
우리선물 김영정 연구원은 "대북 리스크와 증시에서 외국인 매도, 박재완 장관의 환시 개입 발언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줘 원ㆍ달러 환율이 오른 것 같다"며 "1,070선에서 저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날 쉽게 뚫렸다"고 말했다.
오후 3시20분 현재 원ㆍ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00엔당 2.41원 오른 1,186.99원에 거래됐다.
pseudoj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