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최근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받게해주겠다며 대출을 받게 한 뒤 이 돈을 가로채는 사기행위가 횡행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29일 금감원에 따르면 대학생 A씨는 지난해 5~7월 중 같은 학교 학생 40여명에게 "금융기관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아 학교 측에 맡기면 대출금액의 20%를 장학금으로 받을 수 있다"고 속여 6억원을 가로챘다.
A씨는 피해 학생들에게 주민등록등본과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신분증, 예금통장 사본 등을 넘겨받아 저축은행에서 인터넷 대출을 받고 돈을 챙겨 달아나는 수법을 썼다.
정부지원금을 미끼로 한 사기도 있다.
사기범들은 지난해 7~9월 중 정부 투자 사회봉사기업을 사칭한 유령회사를 만들고 이 회사에 취직하면 매달 100만원씩 정부가 지원하는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며대학생들을 모집했다.
그런 다음 "장학금 지원 대상은 학자금 대출이 있는 학생들에게 제한되기 때문에 이를 증명하기 위해 대출금을 회사에 입금하면 확인한 뒤 바로 돌려주겠다"고 학생들을 속여 입금된 돈을 빼내 달아났다. 피해학생은 20여명, 피해금액은 4억원에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삼자가 장학금 지급, 취업, 투자 등을 미끼로 대출받을 것을 요구하는 행위에 절대 넘어가서는 안 된다"며 "대출사기로 의심되면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에 문의하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지난 21일 전국 대학교에 대학생 대상 대출 사기 유형과 예방방법 등을 담은 `대학생 사기대출 피해 관련 유의사항'을 보냈다.
eu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9일 금감원에 따르면 대학생 A씨는 지난해 5~7월 중 같은 학교 학생 40여명에게 "금융기관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아 학교 측에 맡기면 대출금액의 20%를 장학금으로 받을 수 있다"고 속여 6억원을 가로챘다.
A씨는 피해 학생들에게 주민등록등본과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신분증, 예금통장 사본 등을 넘겨받아 저축은행에서 인터넷 대출을 받고 돈을 챙겨 달아나는 수법을 썼다.
정부지원금을 미끼로 한 사기도 있다.
사기범들은 지난해 7~9월 중 정부 투자 사회봉사기업을 사칭한 유령회사를 만들고 이 회사에 취직하면 매달 100만원씩 정부가 지원하는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며대학생들을 모집했다.
그런 다음 "장학금 지원 대상은 학자금 대출이 있는 학생들에게 제한되기 때문에 이를 증명하기 위해 대출금을 회사에 입금하면 확인한 뒤 바로 돌려주겠다"고 학생들을 속여 입금된 돈을 빼내 달아났다. 피해학생은 20여명, 피해금액은 4억원에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삼자가 장학금 지급, 취업, 투자 등을 미끼로 대출받을 것을 요구하는 행위에 절대 넘어가서는 안 된다"며 "대출사기로 의심되면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에 문의하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지난 21일 전국 대학교에 대학생 대상 대출 사기 유형과 예방방법 등을 담은 `대학생 사기대출 피해 관련 유의사항'을 보냈다.
eu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