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이달 23일부터 스위스다보스에서 열린 2013년 세계경제포럼(WEF) 연례회의와 취리히에서 열린 제13차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한 후 29일 귀국했다.
김 총재는 다보스포럼에서 주요국 정책당국자 등과 만나 금융위기 이후의 세계교역 위축, 경기 회복 부진 등 경제 현안을 검토했다.
FSB 총회에서 김 총재는 FSB의 법적기반 강화,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취약성, 장외파생상품시장 개혁, 주요금융기관(SIFIs) 정리절차 확립에 대해 회원들과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또 유럽중앙은행(ECB)의 적극적 정책개입과 각국의 재정ㆍ금융 개혁으로 유로 분열 위험이 낮아졌지만 글로벌 성장 전망이 어둡고 초저금리 기조가 이어져 당국의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FSB는 세계적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규제 개혁을 논의하는 회의체로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24개 회원국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12개 기구가참여한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김 총재는 다보스포럼에서 주요국 정책당국자 등과 만나 금융위기 이후의 세계교역 위축, 경기 회복 부진 등 경제 현안을 검토했다.
FSB 총회에서 김 총재는 FSB의 법적기반 강화,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취약성, 장외파생상품시장 개혁, 주요금융기관(SIFIs) 정리절차 확립에 대해 회원들과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또 유럽중앙은행(ECB)의 적극적 정책개입과 각국의 재정ㆍ금융 개혁으로 유로 분열 위험이 낮아졌지만 글로벌 성장 전망이 어둡고 초저금리 기조가 이어져 당국의 모니터링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FSB는 세계적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규제 개혁을 논의하는 회의체로 주요 7개국(G7)을 포함한 24개 회원국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12개 기구가참여한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