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투자은행(IB)인 모건스탠리가 한국은행통화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1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하더라도국내 경제 부양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모건스탠리는 "일각에선 기준금리를 내리면 수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수출은 글로벌 수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금리 인하가 원화가치 절하나 수출경쟁력 강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의 저조한 기업 설비투자도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른 것이라며 금리 조정이설비투자 확대에 미치는 효과 역시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는 "금리 인하가 소비 진작에 기여할 수 있다"면서도 "추가 금리 인하 시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확률이 크다"고 우려했다.
또 현재의 부동산경기 부진은 심리적 요인이 크다며 금리 인하로는 부동산 시장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한은이 추가 금리 인하를 하더라도국내 경제 부양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모건스탠리는 "일각에선 기준금리를 내리면 수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수출은 글로벌 수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금리 인하가 원화가치 절하나 수출경쟁력 강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의 저조한 기업 설비투자도 글로벌 불확실성에 따른 것이라며 금리 조정이설비투자 확대에 미치는 효과 역시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모건스탠리는 "금리 인하가 소비 진작에 기여할 수 있다"면서도 "추가 금리 인하 시 (채무자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확률이 크다"고 우려했다.
또 현재의 부동산경기 부진은 심리적 요인이 크다며 금리 인하로는 부동산 시장을 회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