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금융기관 본연 역할 강조
새 정부의 창조경제가 성공하기 위해 산업은행이 과거 정책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을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최공필 상임자문위원은 7일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신 금융패러다임'이란 보고서에서 "과거 산업은행의 역할을 회복하고 거대기금을 조성, 창조경제 프로젝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자문위원은 창조경제가 '문화콘텐츠 기반 창의력에 과학기술을 접목해 고용안정과 동반성장을 가능케 하는 포용적 성장 패러다임'이라며 창조경제를 구현하려면 민·관이 녹색·지식재산권 금융에 특화된 기구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산은을 언급하며 "규제 역풍에 직면한 메가뱅크 식의 대형화보다는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주도적으로 기금을 만들어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사업·운영주체로서의 역할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창조경제의 융합 프로젝트를 위해 법체제 정비와 기존 업무영역 간 장벽허물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녹색·지재권 금융으로 주변과 미래를 고려한 경제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전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새 정부의 창조경제가 성공하기 위해 산업은행이 과거 정책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을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최공필 상임자문위원은 7일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신 금융패러다임'이란 보고서에서 "과거 산업은행의 역할을 회복하고 거대기금을 조성, 창조경제 프로젝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 자문위원은 창조경제가 '문화콘텐츠 기반 창의력에 과학기술을 접목해 고용안정과 동반성장을 가능케 하는 포용적 성장 패러다임'이라며 창조경제를 구현하려면 민·관이 녹색·지식재산권 금융에 특화된 기구를 설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산은을 언급하며 "규제 역풍에 직면한 메가뱅크 식의 대형화보다는 정책금융기관으로서 주도적으로 기금을 만들어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사업·운영주체로서의 역할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창조경제의 융합 프로젝트를 위해 법체제 정비와 기존 업무영역 간 장벽허물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녹색·지재권 금융으로 주변과 미래를 고려한 경제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전했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