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관리관 은성수, 기획조정실장 최원목, 세제실장 김낙회
기획재정부는 정은보(52)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을 차관보에 임명하는 등 실장급(1급) 고위공무원의 인사를 단행했다.
국제경제관리관에는 은성수(52) 국제금융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에는 최원목(53) 전 청와대 국정과제1비서관, 예산실장에는 방문규(51) 예산총괄심의관, 세제실장에는 김낙회(53)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장을 각각 맡는다.
은성수 국제금융정책국장, 방문규 세제실장 등 두 명만이 승진했으며 나머지는수평이동이다.
이번 인사는 현오석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지난달 22일 취임한 이후 거의 한달 만에 이뤄졌다.
은 국제경제관리관, 최 기조실장, 김 세제실장은 행정고시 27회 동기이고 정 차관보와 방 예산실장은 1기 늦은 28회다.
정 차관보는 경북 청송 출신으로 대일고, 서울대를 나왔고 재경부 경제정책국조정 1과장, 경제분석과장,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관,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등 거시·미시 경제와 금융을 두루 섭렵한 전문경제관료로 꼽힌다.
금융위 사무처장 재직 당시 강력한 업무 추진력으로 서민금융지원 확대, 소비자보호 강화, 저축은행 건전성 강화 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생인 방 실장은 수성고, 서울대 영문학과를 나왔으며 기획예산처 산업재정3과장, 재정정책과장,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단장, 기재부 성과관리심의관, 대변인,사회예산심의관, 예산총괄심의관을 지낸 '예산통(通)'이다.
방 실장은 적극적인 세출 구조조정으로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화하고 경기회복 지연 상황에서 적정 수준의 총지출 규모를 유지해 실질적인 균형재정 달성을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합리적 일 처리 방식과 업무 전문성으로 상하 직원의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어 재정 혁신에 적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전북 군산 출신의 은 국제경제관리관은 군산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온 손꼽히는 국내·국제금융전문가이며 경북 경주가 고향인 최 기조실장은 중대부고, 고려대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재정관리협력관, 재정관리국장, 청와대 국정과제1비서관 및국제금융비서관 등을 거쳤다.
김 실장은 충북 증평 생으로 청주고 한양대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재경부 세제실 소비세제과장, 기재부 조세기획관, 조세정책관,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장을 역임한 대표적인 세제 전문가로 꼽힌다.
기재부는 "출신이 제각각이어서 지역 균형인사가 아니냐는 얘기가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각자의 경력과 역량을 보고 인력풀에 따라 가장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과장급 이하 후속 인사는 5월께 단행될 예정이다.
yk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기획재정부는 정은보(52)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을 차관보에 임명하는 등 실장급(1급) 고위공무원의 인사를 단행했다.
국제경제관리관에는 은성수(52) 국제금융정책국장, 기획조정실장에는 최원목(53) 전 청와대 국정과제1비서관, 예산실장에는 방문규(51) 예산총괄심의관, 세제실장에는 김낙회(53)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장을 각각 맡는다.
은성수 국제금융정책국장, 방문규 세제실장 등 두 명만이 승진했으며 나머지는수평이동이다.
이번 인사는 현오석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지난달 22일 취임한 이후 거의 한달 만에 이뤄졌다.
은 국제경제관리관, 최 기조실장, 김 세제실장은 행정고시 27회 동기이고 정 차관보와 방 예산실장은 1기 늦은 28회다.
정 차관보는 경북 청송 출신으로 대일고, 서울대를 나왔고 재경부 경제정책국조정 1과장, 경제분석과장,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관, 새누리당 수석전문위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등 거시·미시 경제와 금융을 두루 섭렵한 전문경제관료로 꼽힌다.
금융위 사무처장 재직 당시 강력한 업무 추진력으로 서민금융지원 확대, 소비자보호 강화, 저축은행 건전성 강화 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생인 방 실장은 수성고, 서울대 영문학과를 나왔으며 기획예산처 산업재정3과장, 재정정책과장,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단장, 기재부 성과관리심의관, 대변인,사회예산심의관, 예산총괄심의관을 지낸 '예산통(通)'이다.
방 실장은 적극적인 세출 구조조정으로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화하고 경기회복 지연 상황에서 적정 수준의 총지출 규모를 유지해 실질적인 균형재정 달성을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합리적 일 처리 방식과 업무 전문성으로 상하 직원의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어 재정 혁신에 적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전북 군산 출신의 은 국제경제관리관은 군산고,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온 손꼽히는 국내·국제금융전문가이며 경북 경주가 고향인 최 기조실장은 중대부고, 고려대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재정관리협력관, 재정관리국장, 청와대 국정과제1비서관 및국제금융비서관 등을 거쳤다.
김 실장은 충북 증평 생으로 청주고 한양대 행정학과를 졸업했으며 재경부 세제실 소비세제과장, 기재부 조세기획관, 조세정책관, 국무조정실 조세심판원장을 역임한 대표적인 세제 전문가로 꼽힌다.
기재부는 "출신이 제각각이어서 지역 균형인사가 아니냐는 얘기가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각자의 경력과 역량을 보고 인력풀에 따라 가장 일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과장급 이하 후속 인사는 5월께 단행될 예정이다.
yks@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