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연장시 세대갈등…女 경제활동참가율 높여야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여성인력 활용이야말로 늙어가는 거시경제에 제동을 거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고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이라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8일 여성가족부 홈페이지에 기고한 「우리 경제가 '엄마'라고 외칩니다」라는 글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여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출산율을 단기간에 높일 방법은 없고, 노동력 수입을 대폭 늘리는 것은사회적 갈등을 낳는다"며 "정년 연장은 세대 간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과거처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경제를 성장시키기는 어려워진 만큼 여성의경제활동이 활발해져야 한다는 얘기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가로막는 사회구조도 꼬집었다.
현 부총리는 "여성은 가정에서 슈퍼우먼 역할을 맡다 보니 일과 가정이 양립하기 어렵고, 임신과 출산은 곧잘 사표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한번 경력이 단절되면 취업이 쉽지 않고 남녀 임금 격차도 여전하다"고덧붙였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보육예산을 늘리고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목표제를 도입했다고 소개했다. 임신기간 여성근로자 근무시간 단축제, 남성 출산휴가인 '아빠의 달'등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정부의 노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남녀 가사분담과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양성평등 문화의 확산이다"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지금 한국 경제를 움직이는 것은 남성일지 모르지만, 앞으로 우리경제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여성"이라며 "여성을 응원하는 문화가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여성인력 활용이야말로 늙어가는 거시경제에 제동을 거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고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이라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8일 여성가족부 홈페이지에 기고한 「우리 경제가 '엄마'라고 외칩니다」라는 글에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높여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출산율을 단기간에 높일 방법은 없고, 노동력 수입을 대폭 늘리는 것은사회적 갈등을 낳는다"며 "정년 연장은 세대 간 갈등을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과거처럼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경제를 성장시키기는 어려워진 만큼 여성의경제활동이 활발해져야 한다는 얘기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가로막는 사회구조도 꼬집었다.
현 부총리는 "여성은 가정에서 슈퍼우먼 역할을 맡다 보니 일과 가정이 양립하기 어렵고, 임신과 출산은 곧잘 사표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어 "한번 경력이 단절되면 취업이 쉽지 않고 남녀 임금 격차도 여전하다"고덧붙였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보육예산을 늘리고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목표제를 도입했다고 소개했다. 임신기간 여성근로자 근무시간 단축제, 남성 출산휴가인 '아빠의 달'등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정부의 노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남녀 가사분담과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양성평등 문화의 확산이다"고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지금 한국 경제를 움직이는 것은 남성일지 모르지만, 앞으로 우리경제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여성"이라며 "여성을 응원하는 문화가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