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지·서영경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연구원은 23일 '아베노믹스 국가전략특구 구상의 주요 내용과 평가' 보고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주재로 열린 산업경쟁력회의에서규제 완화와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전략특구 5~6곳을 도쿄도(都), 오사카부(府), 아이치(愛知)현 등 3대 도시권에 창설키로 한 바 있다.
일본 측은 이 지역에 대규모 세제혜택을 주면서 각종 규제를 걷어낼 계획이다.
한국, 싱가포르, 홍콩 등 경쟁국보다 높은 수준의 실질유효 법인세율(35.64%)을20%대로 낮추고, 벤처기업에 투자한 개인투자자에게 감세혜택을 주는 '에인절 세제'의 적용 범위를 법인, 농업 등으로 확대한다.
공항과 유료도로, 공공교통 등 공공설비의 운영권은 최대 50%까지 민간에 매각할 예정이다.
KIEP는 "일본총합연구소는 '정권교체에 따른 경제특구제도 자체의 잦은 변화가직접 특구를 운영하는 지자체의 추진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일본은 1990년대까지는 국토균형발전을 기조로 삼아 지역 간 격차를 심화할 수있는 특구 정책에 소극적이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경기활성화를 위해 구조개혁특구, 종합특구 등 다양한 경제특구 정책을 시행해 왔다.
일본총합연구소는 정부가 특구 구상을 단기적 경기부양책으로 인식하며 마치 특구가 경기 회복의 특효약인 것처럼 활용하는 방식에는 문제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대책은 중앙정부가 권한과 재원을 지방으로 이양하기보다 오히려 중앙정부가 특정 지역에 특권을 주는 성격이 강하다고 꼬집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