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신한·산업銀 등 막판 동의 유력…상장폐지 면할듯
국내 시공능력 13위인 쌍용건설[012650]의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이 극적 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쌍용건설은 워크아웃 개시가 미뤄지면서 이미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지만, 막판합의 도출로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고 회생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단의 의결권 7.95%를 보유한 국민은행은 전날에 이어 이틀째 여신심사위원회를 열어 워크아웃 동의 여부를 논의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어제 오후에는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면서도 "현재로선확답하기 어렵지만, 아무래도 동의하는 쪽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의결권의 15.33%와 11.85%를 가진 산업은행과 신한은행도 조만간 여신심사위원회를 열어 워크아웃에 대한 입장을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수출입은행이 워크아웃 개시에 찬성한 가운데 서울보증보험(15.16%)과 하나은행(7.32%)은 주요 채권은행의 입장에 따르는 '조건부 동의'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24.22%) 등을 포함해 채권단의 80% 이상이 극적으로 합의에도달, 워크아웃에 따른 긴급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쌍용건설에 대한 채권단의 지원은 1천70억원의 출자전환과 4천450억원의 신규자금 공급이다. 지난 2월26일 결의한 1천700억원의 출자전환 이행도 포함된다.
쌍용건설은 이달 말까지 유예됐던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애초 우리은행은 유예 시한의 2주일 전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면 채권단에워크아웃 부결을 통보할 계획이었다. 그러면 쌍용건설은 상장폐지를 공시해야 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쌍용건설의 상장을 유지해야 영업에 차질이 적고 인수·합병(M&A)도 순조로울 수 있어 오는 13일을 '데드라인'으로 잡은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채권단 내에서는 여전히 쌍용건설의 회생 가능성에 부정적인 시각이 많아부결로 방향이 급선회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쌍용건설 워크아웃이 타결되는 쪽으로 가닥을 잡는 것은 '힘'을 앞세운 금융당국의 강한 압박과 설득 때문이라는 점에서 시장 원리에 따라 법정관리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채권단의 실질적·잠재적 부담이 너무 크다"며 "차라리 법정관리로 가는 게 깔끔하고 비협약 채권자까지 포함해야 공평하다"고 지적했다.
쌍용건설은 워크아웃이 3개월 넘게 지연되는 탓에 대규모 해외 수주가 불발되는등 이미 피해가 현실화했다.
싱가포르의 2억달러 짜리와 6억3천만달러 짜리 복합건축 공사는 재무개선 자료를 제출하지 못해 각각 수주에 실패했거나 실패가 확실시된다.
중동의 11억3천만달러 짜리 지하철 공사도 지난달 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재무개선 자료를 오는 14일까지 제출해야 한다고 쌍용건설은 밝혔다.
ssahn@yna.co.kr zheng@yna.co.kr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내 시공능력 13위인 쌍용건설[012650]의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이 극적 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쌍용건설은 워크아웃 개시가 미뤄지면서 이미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지만, 막판합의 도출로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나고 회생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단의 의결권 7.95%를 보유한 국민은행은 전날에 이어 이틀째 여신심사위원회를 열어 워크아웃 동의 여부를 논의한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어제 오후에는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면서도 "현재로선확답하기 어렵지만, 아무래도 동의하는 쪽으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의결권의 15.33%와 11.85%를 가진 산업은행과 신한은행도 조만간 여신심사위원회를 열어 워크아웃에 대한 입장을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수출입은행이 워크아웃 개시에 찬성한 가운데 서울보증보험(15.16%)과 하나은행(7.32%)은 주요 채권은행의 입장에 따르는 '조건부 동의'로 가닥을 잡았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24.22%) 등을 포함해 채권단의 80% 이상이 극적으로 합의에도달, 워크아웃에 따른 긴급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쌍용건설에 대한 채권단의 지원은 1천70억원의 출자전환과 4천450억원의 신규자금 공급이다. 지난 2월26일 결의한 1천700억원의 출자전환 이행도 포함된다.
쌍용건설은 이달 말까지 유예됐던 상장폐지 위기를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애초 우리은행은 유예 시한의 2주일 전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면 채권단에워크아웃 부결을 통보할 계획이었다. 그러면 쌍용건설은 상장폐지를 공시해야 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쌍용건설의 상장을 유지해야 영업에 차질이 적고 인수·합병(M&A)도 순조로울 수 있어 오는 13일을 '데드라인'으로 잡은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채권단 내에서는 여전히 쌍용건설의 회생 가능성에 부정적인 시각이 많아부결로 방향이 급선회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쌍용건설 워크아웃이 타결되는 쪽으로 가닥을 잡는 것은 '힘'을 앞세운 금융당국의 강한 압박과 설득 때문이라는 점에서 시장 원리에 따라 법정관리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채권단의 실질적·잠재적 부담이 너무 크다"며 "차라리 법정관리로 가는 게 깔끔하고 비협약 채권자까지 포함해야 공평하다"고 지적했다.
쌍용건설은 워크아웃이 3개월 넘게 지연되는 탓에 대규모 해외 수주가 불발되는등 이미 피해가 현실화했다.
싱가포르의 2억달러 짜리와 6억3천만달러 짜리 복합건축 공사는 재무개선 자료를 제출하지 못해 각각 수주에 실패했거나 실패가 확실시된다.
중동의 11억3천만달러 짜리 지하철 공사도 지난달 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재무개선 자료를 오는 14일까지 제출해야 한다고 쌍용건설은 밝혔다.
ssahn@yna.co.kr zheng@yna.co.kr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