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행장 퇴임에 경영공백 우려…경영능력 첫 시험대
임영록 KB금융[105560] 회장 내정자와 KB국민은행 노조의 갈등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노조는 지난 7일부터 일주일째 회장 내정자인 KB금융 임영록 사장의 명동 본사 출근을 막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는 "`관료 출신도 금융지주 회장이 될 수 있다'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의 발언에서 드러난 관치금융 행태를 묵과할 수 없다"며 무기한 출근 저지투쟁을 벌이고 있다.
노조의 저지에 임 사장은 사무실로 들어가지 못하고 시내 모처에서 업무보고를받고 있다.
일주일째 이어진 출근 저지는 금융권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극한 대립이라고할 수 있다.
2010년 7월 어윤대 KB금융 회장의 취임 때도 노조는 출근저지 투쟁을 선언했으나, 본격적인 출근저지 활동을 벌이지는 않았다.
지난해 신동규 농협금융지주 회장의 선임 때도 노조가 `낙하산 인사'를 반대한다며 출근저지 투쟁을 벌였으나, 단지 이틀간 이어졌을 뿐이다.
더구나 민병덕 국민은행장이 이날 퇴임해 KB금융그룹 내에 경영 공백이 생기는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전날 국민은행 노조는 여의도 본점 앞에서 임 내정자의 취임을 반대하는 대규모집회를 열기도 했다.
임 내정자는 노조에 서운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내정자 입장이 아닌 KB금융 사장으로서 정상적인업무를 챙기기 위해 나선 것인데, 왜 업무를 못 하게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의 시각은 다르다.
박병권 국민은행 노조위원장은 "임 내정자는 KB금융 사장 시절은 물론 회장으로내정된 후에도 노조와 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며 "단순한 관치금융문제가 아니라 노조와 소통하려는 마음이 전혀 없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결국, 사태 해결은 임 내정자가 노조와 대화의 실마리를 어떻게 찾아 풀어나가느냐에 달렸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노조와 갈등을 겪은 다른 금융지주 회장이나 은행장들도 노조와의 대화창구를 마련, 사태를 해결한 바 있다.
윤용로 외환은행장은 지난해 2월 취임 때 노조의 출근저지 투쟁이 벌어지자 아예 출근을 보류하고 노조와 물밑 대화를 벌여 노사 합의를 끌어냈다.
결국, 윤 행장은 일주일 뒤 외환은행 노조위원장에게서 장미 꽃다발을 받으며출근할 수 있었다.
11일 취임한 임종룡 농협금융지주 회장도 6일 회장으로 내정된 다음날 바로 노조 사무실을 찾아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눈 끝에 서로 신뢰를 쌓을 수 있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노조 측과 대화와 소통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금융지주 회장의 중요한 책무 중 하나일 것"이라며 "임 내정자가 경영의 첫 걸음을 잘 뗄수 있느냐는 노조와의 원만한 관계 정립에 달렸을 수 있다"고 말했다.
ss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임영록 KB금융[105560] 회장 내정자와 KB국민은행 노조의 갈등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 노조는 지난 7일부터 일주일째 회장 내정자인 KB금융 임영록 사장의 명동 본사 출근을 막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는 "`관료 출신도 금융지주 회장이 될 수 있다'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의 발언에서 드러난 관치금융 행태를 묵과할 수 없다"며 무기한 출근 저지투쟁을 벌이고 있다.
노조의 저지에 임 사장은 사무실로 들어가지 못하고 시내 모처에서 업무보고를받고 있다.
일주일째 이어진 출근 저지는 금융권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운 극한 대립이라고할 수 있다.
2010년 7월 어윤대 KB금융 회장의 취임 때도 노조는 출근저지 투쟁을 선언했으나, 본격적인 출근저지 활동을 벌이지는 않았다.
지난해 신동규 농협금융지주 회장의 선임 때도 노조가 `낙하산 인사'를 반대한다며 출근저지 투쟁을 벌였으나, 단지 이틀간 이어졌을 뿐이다.
더구나 민병덕 국민은행장이 이날 퇴임해 KB금융그룹 내에 경영 공백이 생기는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전날 국민은행 노조는 여의도 본점 앞에서 임 내정자의 취임을 반대하는 대규모집회를 열기도 했다.
임 내정자는 노조에 서운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내정자 입장이 아닌 KB금융 사장으로서 정상적인업무를 챙기기 위해 나선 것인데, 왜 업무를 못 하게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노조의 시각은 다르다.
박병권 국민은행 노조위원장은 "임 내정자는 KB금융 사장 시절은 물론 회장으로내정된 후에도 노조와 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며 "단순한 관치금융문제가 아니라 노조와 소통하려는 마음이 전혀 없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결국, 사태 해결은 임 내정자가 노조와 대화의 실마리를 어떻게 찾아 풀어나가느냐에 달렸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노조와 갈등을 겪은 다른 금융지주 회장이나 은행장들도 노조와의 대화창구를 마련, 사태를 해결한 바 있다.
윤용로 외환은행장은 지난해 2월 취임 때 노조의 출근저지 투쟁이 벌어지자 아예 출근을 보류하고 노조와 물밑 대화를 벌여 노사 합의를 끌어냈다.
결국, 윤 행장은 일주일 뒤 외환은행 노조위원장에게서 장미 꽃다발을 받으며출근할 수 있었다.
11일 취임한 임종룡 농협금융지주 회장도 6일 회장으로 내정된 다음날 바로 노조 사무실을 찾아 허심탄회한 이야기를 나눈 끝에 서로 신뢰를 쌓을 수 있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노조 측과 대화와 소통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금융지주 회장의 중요한 책무 중 하나일 것"이라며 "임 내정자가 경영의 첫 걸음을 잘 뗄수 있느냐는 노조와의 원만한 관계 정립에 달렸을 수 있다"고 말했다.
ss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