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멕시코 등보다 환율·증시 변동폭 작아""채권시장서 외국인자금 이탈없는 것으로 분석돼"
버냉키발(發) 쇼크가 전 세계를덮친 가운데 한국의 '금융시장 성적표'는 주요 신흥국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자금의 이탈도 거의 없다는 것이다.
◇ 환율 변동폭 상대적으로 작아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출구전략' 발언으로 인한 환율 변동률은 한국과 호주,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필리핀,러시아, 멕시코 등 8개 주요 신흥국 중 한국이 네번째로 작았다.
원·달러 환율은 버냉키 의장의 발언 직전인 19일 달러당 1,130.8원에서 21일 1,154.7원으로 올랐다. 이틀 새 원화는 달러화 대비 2.07% 평가절하된 것이다.
브라질(3.45%), 러시아(3.18%), 멕시코(2.94%), 호주(2.77%)는 한국보다 변동폭이 컸다.
자국 화폐 평가절하 폭이 한국보다 작았던 신흥국은 인도네시아(0.25%), 인도(1.16%), 필리핀(1.62%) 정도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경우 버냉키 의장의 발언 직전인 6월 중순 자국 통화 가치가 약세를 지속하자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직접적·우회적 방법으로 개입한바 있다.
이를 고려하면 방어막 없이 충격파를 맞은 주요 신흥국 중 한국은 상대적으로타격을 덜 받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증시로 봐도 상황은 비슷하다.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19일 1,888.31에서 21일 1,822.83으로 3.47%의 변동률을 보였다.
인도네시아(6.75%), 러시아(5.38%), 멕시코(4.92%), 필리핀(4.80%)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정부는 이런 수치를 바탕으로 '출구전략' 쇼크로 한국 금융시장이 출렁거리고있지만 주요 신흥국 진영 중에서는 성적이 나쁜 편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우리 경제는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대외 건전성도 개선되고 있어 다른 신흥국에 비해 그 영향이 차별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쇼크로 모든 나라가 영향을 받고 있는데, 다른 신흥국에비하면 상대적으로 우리는 충격이 덜한 상황"이라며 "시장 심리나 불안 정도가 전체적으로 예상 가능한 수준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 채권시장서 외국인자금 이탈 없어 '버냉키 쇼크'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우려했던 외국인 자본의국내 채권시장 이탈은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원화채권 투자자들이 외국 중앙은행과 장기펀드로 재편돼 채권시장에서단기간에 급격한 자본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국인 원화채권 보유잔액은 20일 기준 100조2천억원(상장채권 시가총액 대비 7.2%)으로 지난달 1조4천억원 순증한 데 이어 이달에도 순투자액이 1조6천억원에 달했다.
올해 들어 늘어난 외국인 원화채권 투자액은 9조3천억원으로 작년 한 해 동안의순투자액 7조4천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외화자금 순유입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한국시장이 매력적이라는 긍정적 신호이기도 하지만 유입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위기 시 급격한 자본유출로 이어져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실제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9∼12월 넉달 간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자금134억달러가 순유출돼 주식시장(-74억달러)보다 이탈폭이 더 컸다.
이달 들어서도 외국인 보유 채권의 만기가 집중됨에 따라 외국인 채권자금 이탈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6월 중 만기가 도래한 외국인 보유 채권 규모는 총 8조7천억원으로 월 2조원 내외인 평소보다 쏠림 폭이 컸다. 실제 자금이탈로 이어질 경우 채권시장을 '패닉'으로 몰아넣을 만한 규모다.
그러나 만기 도래로 회수된 자금은 대부분 원화채권 재투자로 이어져 우려했던자금이탈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미국의 출구전략 계획 발표로 채권금리가 폭등한 20일에도 외국인은 오히려 통안채 위주로 원화채권 4천643억원을 순매수했다.
기재부 국고국 관계자는 "6월 만기 채권 중 통안채 1조원 가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만기지급이 이미 끝났다"며 "이달 외국인 채권투자가 순증했다는 것은 만기도래액이 빠져나가지 않고 재투자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채권시장에서 외화자금의 '엑소더스'가 발생하지 않은 이유로 양호한 거시건전성 지표와 원화채권 투자 주체의 변화를 들고 있다. 우선 신용등급, 재정건전성, 외환보유고 등 거시지표가 좋아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을 신흥국과는 다르게 평가한다는 설명이다.
외국인 채권 투자자의 80%가량이 외국 중앙은행과 장기펀드 등 장기투자자 위주로 바뀐 점도 급격한 유출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다.
최희남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은 "버냉키 발언 이후 자금유출에 대한 우려가큰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외국인 채권매입에서 보이듯 한국은 경제 펀더멘털 측면에서 시장 움직임 폭이 큰 신흥국과는 여건이 다르다"고 말했다.
pan@yna.co.kr speed@yna.co.kr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버냉키발(發) 쇼크가 전 세계를덮친 가운데 한국의 '금융시장 성적표'는 주요 신흥국과 비교하면 양호한 수준이었던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고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자금의 이탈도 거의 없다는 것이다.
◇ 환율 변동폭 상대적으로 작아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출구전략' 발언으로 인한 환율 변동률은 한국과 호주,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필리핀,러시아, 멕시코 등 8개 주요 신흥국 중 한국이 네번째로 작았다.
원·달러 환율은 버냉키 의장의 발언 직전인 19일 달러당 1,130.8원에서 21일 1,154.7원으로 올랐다. 이틀 새 원화는 달러화 대비 2.07% 평가절하된 것이다.
브라질(3.45%), 러시아(3.18%), 멕시코(2.94%), 호주(2.77%)는 한국보다 변동폭이 컸다.
자국 화폐 평가절하 폭이 한국보다 작았던 신흥국은 인도네시아(0.25%), 인도(1.16%), 필리핀(1.62%) 정도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와 인도의 경우 버냉키 의장의 발언 직전인 6월 중순 자국 통화 가치가 약세를 지속하자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직접적·우회적 방법으로 개입한바 있다.
이를 고려하면 방어막 없이 충격파를 맞은 주요 신흥국 중 한국은 상대적으로타격을 덜 받은 편에 속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증시로 봐도 상황은 비슷하다.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19일 1,888.31에서 21일 1,822.83으로 3.47%의 변동률을 보였다.
인도네시아(6.75%), 러시아(5.38%), 멕시코(4.92%), 필리핀(4.80%)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낙폭이 작았다.
정부는 이런 수치를 바탕으로 '출구전략' 쇼크로 한국 금융시장이 출렁거리고있지만 주요 신흥국 진영 중에서는 성적이 나쁜 편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우리 경제는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고 대외 건전성도 개선되고 있어 다른 신흥국에 비해 그 영향이 차별화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부 관계자는 "글로벌 쇼크로 모든 나라가 영향을 받고 있는데, 다른 신흥국에비하면 상대적으로 우리는 충격이 덜한 상황"이라며 "시장 심리나 불안 정도가 전체적으로 예상 가능한 수준이라고 본다"고 평가했다.
◇ 채권시장서 외국인자금 이탈 없어 '버냉키 쇼크'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는 가운데 우려했던 외국인 자본의국내 채권시장 이탈은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원화채권 투자자들이 외국 중앙은행과 장기펀드로 재편돼 채권시장에서단기간에 급격한 자본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국인 원화채권 보유잔액은 20일 기준 100조2천억원(상장채권 시가총액 대비 7.2%)으로 지난달 1조4천억원 순증한 데 이어 이달에도 순투자액이 1조6천억원에 달했다.
올해 들어 늘어난 외국인 원화채권 투자액은 9조3천억원으로 작년 한 해 동안의순투자액 7조4천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외화자금 순유입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한국시장이 매력적이라는 긍정적 신호이기도 하지만 유입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위기 시 급격한 자본유출로 이어져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증폭시킬 수 있다.
실제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9∼12월 넉달 간 채권시장에서 외국인자금134억달러가 순유출돼 주식시장(-74억달러)보다 이탈폭이 더 컸다.
이달 들어서도 외국인 보유 채권의 만기가 집중됨에 따라 외국인 채권자금 이탈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6월 중 만기가 도래한 외국인 보유 채권 규모는 총 8조7천억원으로 월 2조원 내외인 평소보다 쏠림 폭이 컸다. 실제 자금이탈로 이어질 경우 채권시장을 '패닉'으로 몰아넣을 만한 규모다.
그러나 만기 도래로 회수된 자금은 대부분 원화채권 재투자로 이어져 우려했던자금이탈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미국의 출구전략 계획 발표로 채권금리가 폭등한 20일에도 외국인은 오히려 통안채 위주로 원화채권 4천643억원을 순매수했다.
기재부 국고국 관계자는 "6월 만기 채권 중 통안채 1조원 가량을 제외한 나머지는 만기지급이 이미 끝났다"며 "이달 외국인 채권투자가 순증했다는 것은 만기도래액이 빠져나가지 않고 재투자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채권시장에서 외화자금의 '엑소더스'가 발생하지 않은 이유로 양호한 거시건전성 지표와 원화채권 투자 주체의 변화를 들고 있다. 우선 신용등급, 재정건전성, 외환보유고 등 거시지표가 좋아 외국인 투자자가 한국을 신흥국과는 다르게 평가한다는 설명이다.
외국인 채권 투자자의 80%가량이 외국 중앙은행과 장기펀드 등 장기투자자 위주로 바뀐 점도 급격한 유출 가능성을 낮게 보는 이유다.
최희남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은 "버냉키 발언 이후 자금유출에 대한 우려가큰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외국인 채권매입에서 보이듯 한국은 경제 펀더멘털 측면에서 시장 움직임 폭이 큰 신흥국과는 여건이 다르다"고 말했다.
pan@yna.co.kr speed@yna.co.kr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