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은 기업의 수출입 거래에서 신용장(LC)없이 자동으로 수입상과 수출상의 자료를 검증·처리하는 서비스를 상용화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국제 은행간 통신망(SWIFT)의 무역처리시스템(TSU)을 활용, 수입상의 구매계약서와 수출상의 선적자료를 SWIFT로 검증해 신용장 발급 없이 무역 거래를 할 수 있다.
이번에 도입한 SWIFT TSU 서비스는 국내에선 처음이며 한국은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도입한 국가가 됐다고 외환은행은 설명했다.
무신용장 방식의 수출입 거래를 하려면 은행 영업점을 방문해야 했던 기업은 이서비스를 이용하면 인터넷으로 업무를 볼 수 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SWIFT TSU 상용화로 서류 검증이 간편해지고 수입대금의 결제가 빨라지게 됐다"며 "기존 무신용장 방식에 드는 추심수수료에 견줘 서비스 이용수수료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말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 서비스는 국제 은행간 통신망(SWIFT)의 무역처리시스템(TSU)을 활용, 수입상의 구매계약서와 수출상의 선적자료를 SWIFT로 검증해 신용장 발급 없이 무역 거래를 할 수 있다.
이번에 도입한 SWIFT TSU 서비스는 국내에선 처음이며 한국은 중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도입한 국가가 됐다고 외환은행은 설명했다.
무신용장 방식의 수출입 거래를 하려면 은행 영업점을 방문해야 했던 기업은 이서비스를 이용하면 인터넷으로 업무를 볼 수 있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SWIFT TSU 상용화로 서류 검증이 간편해지고 수입대금의 결제가 빨라지게 됐다"며 "기존 무신용장 방식에 드는 추심수수료에 견줘 서비스 이용수수료가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말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