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내용 추가>>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은 양립할 수있다."(김용 세계은행그룹 총재)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성장 모델을 찾아야 한다."(크리스티아나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총장) "국제사회의 즉각적 행동이 필요하다."(현오석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용 세계은행그룹 총재와 크리스티아나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등 주요 국제기구의 수장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두고 격론을벌였다. 토론 사회는 현오석 부총리가 맡았다.
김용 총재와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헬라 쉬흐로흐 GCF사무총장 등 국제기구 수장은 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녹색기후기금(GCF) 출범식 부대행사인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GCF의 역할 및 비전' 토론에서 토론자로 나섰다.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한 융자를 주사업으로 하는 세계은행과 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방출을 규제하는 UNFCCC,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GCF의 수장이 한자리에 모여 토론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이날 행사에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짙은 안개로 탑승 항공기가 제시간에 착륙하지 못해 자리를 함께하지 못했다.
개발도상국이 경제성장과 기후 변화 대응을 함께하기는 어렵지 않으냐는 현오석부총리의 질문에 김용 총재는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은 상충관계가 아니라 양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개도국이 화석연료보다 효율성이 높은 대체에너지를 개발, 성장에필요한 에너지원을 확보하면서 기후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앞으로그린 에너지, 오염저감 기술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GCF 본부를 한국이 유치할 수 있었던 것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한국의 공로를 인정했기 때문"이라면서 "한국은 GCF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피겨레스 UNFCCC 사무총장은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배출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성장 모델을 찾아야 한다"면서 "이런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 민관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GCF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상충하는 관계를 극복하는 다리 역할을 해줘야 한다"면서 "특히 민간의 풍부한 여유자금이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에 투자될수 있도록 내비게이션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세 클레멘스 살쎄다 GCF 공동의장은 최근 필리핀을 덮친 태풍 하이옌을 예로들며 기후변화는 지구촌이 당면한 시급한 문제라고 역설, 눈길을 끌었다.
쉬흐로흐 GCF 사무총장은 "설립 초기인 GCF가 조속히 사업을 수행하려면 선진국의 적극적인 재원 공여가 필수적"이라면서 "개도국이 성장을 위해 환경을 포기하는사례가 더 이상 없도록 내년 중에 사업모델 논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초기 재원조성이 시작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GCF 사무국이 출범했지만 선진국들은 아직 충분한 재원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현재까지 녹색기후기금에 기금 출연을 약정한 나라는 4천만 달러를 낸 한국이유일하다. 이밖에 독일, 노르웨이, 영국 등이 향후 상당한 규모의 재원을 공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상태다.
세련된 영어로 토론을 이끈 현 부총리는 현 상황을 '전지구적 긴급상황'으로 규정하고 "국제사회의 즉각적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일상생활에서 환경친화적 행동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개도국이경제 성장과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력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말로 이날토론을 마무리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GCF 출범식이 재원 조성의 기틀이될 것"이라면서 "GCF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의 노력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speed@yna.co.kr,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은 양립할 수있다."(김용 세계은행그룹 총재)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성장 모델을 찾아야 한다."(크리스티아나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총장) "국제사회의 즉각적 행동이 필요하다."(현오석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용 세계은행그룹 총재와 크리스티아나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등 주요 국제기구의 수장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두고 격론을벌였다. 토론 사회는 현오석 부총리가 맡았다.
김용 총재와 피겨레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 헬라 쉬흐로흐 GCF사무총장 등 국제기구 수장은 4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녹색기후기금(GCF) 출범식 부대행사인 '기후변화 대응 방향과 GCF의 역할 및 비전' 토론에서 토론자로 나섰다.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위한 융자를 주사업으로 하는 세계은행과 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방출을 규제하는 UNFCCC,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GCF의 수장이 한자리에 모여 토론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이날 행사에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짙은 안개로 탑승 항공기가 제시간에 착륙하지 못해 자리를 함께하지 못했다.
개발도상국이 경제성장과 기후 변화 대응을 함께하기는 어렵지 않으냐는 현오석부총리의 질문에 김용 총재는 "경제성장과 기후변화 대응은 상충관계가 아니라 양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개도국이 화석연료보다 효율성이 높은 대체에너지를 개발, 성장에필요한 에너지원을 확보하면서 기후변화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며 "앞으로그린 에너지, 오염저감 기술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업 수요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이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경제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GCF 본부를 한국이 유치할 수 있었던 것은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한국의 공로를 인정했기 때문"이라면서 "한국은 GCF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피겨레스 UNFCCC 사무총장은 "경제성장과 온실가스 배출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성장 모델을 찾아야 한다"면서 "이런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 국가 간 협력, 민관 협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GCF는 선진국과 개도국의 상충하는 관계를 극복하는 다리 역할을 해줘야 한다"면서 "특히 민간의 풍부한 여유자금이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에 투자될수 있도록 내비게이션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세 클레멘스 살쎄다 GCF 공동의장은 최근 필리핀을 덮친 태풍 하이옌을 예로들며 기후변화는 지구촌이 당면한 시급한 문제라고 역설, 눈길을 끌었다.
쉬흐로흐 GCF 사무총장은 "설립 초기인 GCF가 조속히 사업을 수행하려면 선진국의 적극적인 재원 공여가 필수적"이라면서 "개도국이 성장을 위해 환경을 포기하는사례가 더 이상 없도록 내년 중에 사업모델 논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초기 재원조성이 시작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GCF 사무국이 출범했지만 선진국들은 아직 충분한 재원을 내놓지는 않고 있다.
현재까지 녹색기후기금에 기금 출연을 약정한 나라는 4천만 달러를 낸 한국이유일하다. 이밖에 독일, 노르웨이, 영국 등이 향후 상당한 규모의 재원을 공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상태다.
세련된 영어로 토론을 이끈 현 부총리는 현 상황을 '전지구적 긴급상황'으로 규정하고 "국제사회의 즉각적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일상생활에서 환경친화적 행동을 유도하는 정책을 펴고 개도국이경제 성장과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력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말로 이날토론을 마무리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GCF 출범식이 재원 조성의 기틀이될 것"이라면서 "GCF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의 노력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speed@yna.co.kr,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