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내년에도 유로존(유로화 사용국가)의 경제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8일 전망했다.
연구원은 '유로존의 그레이 스완, 재정 위기국의 불안요인' 보고서에서 유로존을 '그레이 스완(Grey Swan·회색 백조)'에 비유하면서 이처럼 전망했다.
'그레이 스완'은 어느 정도 예측할 수는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악재를뜻한다.
보고서를 쓴 조호정 선임연구원은 "유로존의 최근 경제지표 개선은 독일 등 성장 회복 국가에 의한 것으로, 재정위기 국가들의 경제는 여전히 취약하고 구조적인불균형도 개선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유로존의 회복이 더딜 것으로 본 가장 큰 이유는 지속적인 재정 악화다.
그리스, 포르투갈 등 재정위기 국가들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2010년 평균 105.8%에서 올해 2분기 131.5%로 높아졌다. 독일과 프랑스 등 성장 견인 국가들도 이 비율이 같은 기간 평균 83.2%에서 88.4%로 상승했다.
조 선임연구원은 고용 부진, 디플레이션 우려, 유로화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경쟁력도 약화 등도 유로존 경제의 불안감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재정위기 국가들은 은행 부실 확대에 의한 금융 부실이 또 다른 위험요소라고 지목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와 관련, 한국이 유로존 차원에서 확대되는 보호무역주의에적절히 대응하고 유로존의 금융부실 확대로 인한 유럽계 투자자금의 국내 금융시장유출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연구원은 '유로존의 그레이 스완, 재정 위기국의 불안요인' 보고서에서 유로존을 '그레이 스완(Grey Swan·회색 백조)'에 비유하면서 이처럼 전망했다.
'그레이 스완'은 어느 정도 예측할 수는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악재를뜻한다.
보고서를 쓴 조호정 선임연구원은 "유로존의 최근 경제지표 개선은 독일 등 성장 회복 국가에 의한 것으로, 재정위기 국가들의 경제는 여전히 취약하고 구조적인불균형도 개선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유로존의 회복이 더딜 것으로 본 가장 큰 이유는 지속적인 재정 악화다.
그리스, 포르투갈 등 재정위기 국가들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2010년 평균 105.8%에서 올해 2분기 131.5%로 높아졌다. 독일과 프랑스 등 성장 견인 국가들도 이 비율이 같은 기간 평균 83.2%에서 88.4%로 상승했다.
조 선임연구원은 고용 부진, 디플레이션 우려, 유로화 가치 상승에 따른 수출경쟁력도 약화 등도 유로존 경제의 불안감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재정위기 국가들은 은행 부실 확대에 의한 금융 부실이 또 다른 위험요소라고 지목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와 관련, 한국이 유로존 차원에서 확대되는 보호무역주의에적절히 대응하고 유로존의 금융부실 확대로 인한 유럽계 투자자금의 국내 금융시장유출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zhen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