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하락으로 수입가격이 낮아지며 생산자물가하락세가 1년 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CPI)에 대체로 선행하는 점을 고려하면 당분간 저물가기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0일 내놓은 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4% 떨어졌다. 2012년 10월 0.5% 하락한 이후 15개월 연속내림세다.
생산자 물가가 이렇게 장기간 떨어진 것은 2001년 7월~2002년 8월(14개월) 이후처음이다. 다만, 낙폭은 2013년 9월(-1.8%), 10월(-1.4%), 11월(-0.9%) 등으로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2012년에 견줘 1.6% 내렸다.
12월에 가장 하락폭이 큰 품목은 농림수산품(-4.3%)이다. 배추(-58.3%), 풋고추(-48.7%), 감자(-28.1%), 고등어(-25.9%) 등의 물가 수위가 많이 내려갔다.
공산품(-1.4%) 역시 떨어졌다. 금괴(-28.9%), 세금선(-26.8%) 등 제1차금속제품(-5.3%)의 낙폭이 두드러졌고 TV용LCD(-10.2%), 조명등(-13.6%) 등 전기 및 전자기기(-2.3%)도 내렸다.
그러나 서비스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0.7%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요금은 7.4%나 상승했다.
전월대비로 12월 생산자물가는 0.2% 올라 넉 달만에 반등했다.
국내출하·수입품의 가공단계별 물가를 보여주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작년 같은달보다 1.4% 내려갔다. 철광석, 원유 등 원재료(-2.6%)의 내림폭이 중간재(-1.9%)와최종재(0.0%)의 하락폭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국내출하제품·수출품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총산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견줘 0.8% 떨어졌다. 국내 출하분은 0.4%, 수출품은 2.1% 각각 내렸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CPI)에 대체로 선행하는 점을 고려하면 당분간 저물가기조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0일 내놓은 년 12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4% 떨어졌다. 2012년 10월 0.5% 하락한 이후 15개월 연속내림세다.
생산자 물가가 이렇게 장기간 떨어진 것은 2001년 7월~2002년 8월(14개월) 이후처음이다. 다만, 낙폭은 2013년 9월(-1.8%), 10월(-1.4%), 11월(-0.9%) 등으로 둔화되고 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2012년에 견줘 1.6% 내렸다.
12월에 가장 하락폭이 큰 품목은 농림수산품(-4.3%)이다. 배추(-58.3%), 풋고추(-48.7%), 감자(-28.1%), 고등어(-25.9%) 등의 물가 수위가 많이 내려갔다.
공산품(-1.4%) 역시 떨어졌다. 금괴(-28.9%), 세금선(-26.8%) 등 제1차금속제품(-5.3%)의 낙폭이 두드러졌고 TV용LCD(-10.2%), 조명등(-13.6%) 등 전기 및 전자기기(-2.3%)도 내렸다.
그러나 서비스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0.7%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요금은 7.4%나 상승했다.
전월대비로 12월 생산자물가는 0.2% 올라 넉 달만에 반등했다.
국내출하·수입품의 가공단계별 물가를 보여주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작년 같은달보다 1.4% 내려갔다. 철광석, 원유 등 원재료(-2.6%)의 내림폭이 중간재(-1.9%)와최종재(0.0%)의 하락폭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국내출하제품·수출품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총산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과 견줘 0.8% 떨어졌다. 국내 출하분은 0.4%, 수출품은 2.1% 각각 내렸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