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출구전략·中경착륙 가능성에 신흥국 시장 '출렁'
'배는 제대로 고치지도 못했는데 태풍이 몰려온다'.
최근 한국경제를 둘러싼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요약하면 이와 같다.
한국은 경기 회복을 논하기에 한참 부족한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던 G2(주요 2개국) 즉 미국과 중국이 움직이면서 세계 경제가휘청거리고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확대와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 등 거대 변수 앞에서 가장 약한 고리인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신흥국들이 흔들리면서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 역시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美 출구전략 규모 확대에 촉각 28일 현재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드는 가장 큰 변수는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즉 테이퍼링 규모의 확대다.
테이퍼링이란 양적완화 정책(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국채를 매입하거나 통화를 시장에 푸는 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다.
고용과 물가 등 거시 지표에서 확신을 얻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올해 1월부터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달러 가량 줄이고 있다.
오는 28~29일 FOMC에서 미국은 테이퍼링 규모를 200억달러로 기존보다 100억달러 늘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고수익을 찾아 신흥국으로 떠났던 자금이 엔화와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회귀하는 현상으로 귀결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는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일부 신흥국에서 자금이 이탈하고 있지만이런 현상이 신흥국 전반으로 확대되면 한국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2월말로 예정된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도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불확실성으로 거론된다.
미국 정치권이 협상에 실패한다면 연방정부의 부채가 한도에 달해 미국이 국가부도 사태를 맞게 된다.
일본 아베노믹스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행이 막대한 유동성을 계속 공급하는 상황에서 그 끝이 어떻게 될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이다.
4월부터 발효되는 소비세 인상은 거대 변수가 되고 있다. 일본이 출구 전략에들어갈 시점에 재정 건전화가 이뤄져 있지 않으면 일본의 경착륙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中경제 경착륙 가능성 중대 변수 현재 표면적으로 국제 금융시장을 좌우하는 것은 미국의 양적 완화 출구전략이지만 이면에는 중국 경제의 경착륙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중국의 성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의 엔진이 꺼진 상황에서 전 세계를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했지만 더는 이런 역할을 기대할 수없게 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중국이라는 공장이 가동을 멈추면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7.5%를 기록했다. 2012년에 8% 밑으로 떨어진 이후 2년 연속 7%대에 머무르고 있다.
최근에는 1월 제조업 체감경기가 6개월 만에 위축국면으로 들어서면서 시장에충격을 준 바 있다.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강조,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올해도 고성장은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국 정부가 부채 급증을 막고 금융 안정을 기하고자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에 대한 규제에 본격 착수한 것도 불안감을 드리우고 있다.
4조8천억달러에 이르는 그림자금융은 은행의 장부외 우회 대출, 신탁회사·보험사·전당포 등 은행외 대출기관들의 대출 등을 뭉뚱그린 개념으로 규제 실패시 신용경색에 따른 경착륙이 예상된다.
◇ 아르헨·터키發 신흥국 위기도 위협요인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및 중국의 경기 둔화는 국제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연결되면서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약한 고리를 먼저 공략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고수익을 찾아 신흥국으로 떠난 자금이 미국 국채와 엔화등 안전자산으로 회귀하면서 신흥국 입장에서는 급격한 자금 이탈 상황이 벌어지는것이다.
2001년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하며 국가부도 사태를 겪은 아르헨티나의 경우 23일에만 페소화 가치가 11.7% 급락하면서 2002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터키 역시 주가 하락, 통화 절하, CDS 및 국채금리 상승 등 상황을 겪고 있다.
우크라이나, 베네수엘라,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 페루 등 신흥국과 태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 동남아시아 신흥국도 위기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 분류된다.
이들 국가 상당수는 장기화한 반정부 시위나 대선·총선을 앞두고 있어 정치적인 불확실성도 만만치 않다.
정부는 이들 국가의 시장 불안이 전체 신흥국으로 확대된다면 한국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국내외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강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신흥국 시장 불안이 한국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로 올 경우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정부는 시장불안이 발생하면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신속·과감하게 대응하기로했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한국은 단기외채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면서 "다만 하반기 들어 엔저 심화로 경상수지 흑자폭이 줄어들면 한국도 위기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시장의 반응은 일시적인 패닉으로 본다"면서 "금융기관의 거대 손실 등 추가적인 돌발사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1997년이나2008년과 같은 위기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spee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배는 제대로 고치지도 못했는데 태풍이 몰려온다'.
최근 한국경제를 둘러싼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요약하면 이와 같다.
한국은 경기 회복을 논하기에 한참 부족한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던 G2(주요 2개국) 즉 미국과 중국이 움직이면서 세계 경제가휘청거리고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확대와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 등 거대 변수 앞에서 가장 약한 고리인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신흥국들이 흔들리면서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 역시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美 출구전략 규모 확대에 촉각 28일 현재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드는 가장 큰 변수는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즉 테이퍼링 규모의 확대다.
테이퍼링이란 양적완화 정책(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국채를 매입하거나 통화를 시장에 푸는 정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이다.
고용과 물가 등 거시 지표에서 확신을 얻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올해 1월부터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달러 가량 줄이고 있다.
오는 28~29일 FOMC에서 미국은 테이퍼링 규모를 200억달러로 기존보다 100억달러 늘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고수익을 찾아 신흥국으로 떠났던 자금이 엔화와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회귀하는 현상으로 귀결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는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일부 신흥국에서 자금이 이탈하고 있지만이런 현상이 신흥국 전반으로 확대되면 한국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2월말로 예정된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도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불확실성으로 거론된다.
미국 정치권이 협상에 실패한다면 연방정부의 부채가 한도에 달해 미국이 국가부도 사태를 맞게 된다.
일본 아베노믹스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행이 막대한 유동성을 계속 공급하는 상황에서 그 끝이 어떻게 될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것이다.
4월부터 발효되는 소비세 인상은 거대 변수가 되고 있다. 일본이 출구 전략에들어갈 시점에 재정 건전화가 이뤄져 있지 않으면 일본의 경착륙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中경제 경착륙 가능성 중대 변수 현재 표면적으로 국제 금융시장을 좌우하는 것은 미국의 양적 완화 출구전략이지만 이면에는 중국 경제의 경착륙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중국의 성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선진국의 엔진이 꺼진 상황에서 전 세계를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했지만 더는 이런 역할을 기대할 수없게 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중국이라는 공장이 가동을 멈추면 전 세계적인 수요 감소 현상이 발생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7.5%를 기록했다. 2012년에 8% 밑으로 떨어진 이후 2년 연속 7%대에 머무르고 있다.
최근에는 1월 제조업 체감경기가 6개월 만에 위축국면으로 들어서면서 시장에충격을 준 바 있다.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강조,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올해도 고성장은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국 정부가 부채 급증을 막고 금융 안정을 기하고자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에 대한 규제에 본격 착수한 것도 불안감을 드리우고 있다.
4조8천억달러에 이르는 그림자금융은 은행의 장부외 우회 대출, 신탁회사·보험사·전당포 등 은행외 대출기관들의 대출 등을 뭉뚱그린 개념으로 규제 실패시 신용경색에 따른 경착륙이 예상된다.
◇ 아르헨·터키發 신흥국 위기도 위협요인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및 중국의 경기 둔화는 국제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연결되면서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약한 고리를 먼저 공략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고수익을 찾아 신흥국으로 떠난 자금이 미국 국채와 엔화등 안전자산으로 회귀하면서 신흥국 입장에서는 급격한 자금 이탈 상황이 벌어지는것이다.
2001년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하며 국가부도 사태를 겪은 아르헨티나의 경우 23일에만 페소화 가치가 11.7% 급락하면서 2002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터키 역시 주가 하락, 통화 절하, CDS 및 국채금리 상승 등 상황을 겪고 있다.
우크라이나, 베네수엘라,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 페루 등 신흥국과 태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 동남아시아 신흥국도 위기 가능성이 있는 국가로 분류된다.
이들 국가 상당수는 장기화한 반정부 시위나 대선·총선을 앞두고 있어 정치적인 불확실성도 만만치 않다.
정부는 이들 국가의 시장 불안이 전체 신흥국으로 확대된다면 한국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국내외 시장에 대한 모니터링 강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신흥국 시장 불안이 한국의 주요 수출국 중 하나인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로 올 경우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정부는 시장불안이 발생하면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신속·과감하게 대응하기로했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한국은 단기외채 비중이 작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면서 "다만 하반기 들어 엔저 심화로 경상수지 흑자폭이 줄어들면 한국도 위기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시장의 반응은 일시적인 패닉으로 본다"면서 "금융기관의 거대 손실 등 추가적인 돌발사태가 발생하지 않으면 1997년이나2008년과 같은 위기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spee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