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이집트 유동성위기 발생할 수도"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의 41%가 10개 신흥국에쏠려 있어 신흥국발(發) 위기에 주의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이 양적완화 축소에 들어가면 달러 강세가 신흥국에 부담을 줘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30일 한국수출입은행(수은) 해외경제연구소가 내놓은 '주요 신흥국의 유동성위기 발생 가능성 분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2013년 수출액에서 중국·러시아·베트남·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이집트·터키·우즈베키스탄·브라질 등 10개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1%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 10개국 중 '유동성 위기 대응능력'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은 나라는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 두 곳에 그쳤다. 이집트와 터키는 유동성 위기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수은이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금융공사(IIF), 영국의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니트(EIU)의 2014년 전망치를 활용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비율, 단기외채와 수입액(3개월분) 대비 외환보유액 배율 등 건전성 지표를 분석한 결과다.
예컨대 인도와 이집트는 2014년 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각각 GDP의 8.5%, 13.2%에 달할 전망이다. 터키는 수출상품이 저가 상품에 집중돼 있고 원자재 해외 의존도가 높아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GDP의 7.2%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집트, 멕시코, 터키,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의 외환보유액은단기외채와 3개월분 수입액의 합에 못 미친다. 특히 터키의 외환보유액은 960억달러로 단기외채의 0.8배, 3개월분 수입액의 1.3%에 불과해 외환유동성 부족이 심각하다.
임영석 수은 조사역은 "미국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개시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현지화 기준 외채규모를 증가시켜 신흥국의 채무상환 부담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선진국 통화당국이 양적완화 조치를 점진적으로 철회하는 데 실패하면 선진국 시장의 채권금리가 급등해 신흥국에서 급속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가능성을 시사한 뒤 미국 국채금리가 1%포인트 급등하자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서는 금융위기 가능성이 고조된 바 있다.
임 조사역은 "신흥국에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면 환율급변에 따른 환차손, 현지거래처 지급 거절에 따른 대금회수 위험 증가, 현지수요 위축에 따른 수출 축소 등피해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흥국에 진출한 기업은 무역금융 관련 상품을 활용하거나 결재통화를 변경해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의 41%가 10개 신흥국에쏠려 있어 신흥국발(發) 위기에 주의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이 양적완화 축소에 들어가면 달러 강세가 신흥국에 부담을 줘 유동성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30일 한국수출입은행(수은) 해외경제연구소가 내놓은 '주요 신흥국의 유동성위기 발생 가능성 분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2013년 수출액에서 중국·러시아·베트남·인도·인도네시아·멕시코·이집트·터키·우즈베키스탄·브라질 등 10개 신흥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1%에 달한다.
그러나 이들 10개국 중 '유동성 위기 대응능력'이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은 나라는 우즈베키스탄과 러시아 두 곳에 그쳤다. 이집트와 터키는 유동성 위기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는 수은이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금융공사(IIF), 영국의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인텔리전스유니트(EIU)의 2014년 전망치를 활용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수지와 경상수지 비율, 단기외채와 수입액(3개월분) 대비 외환보유액 배율 등 건전성 지표를 분석한 결과다.
예컨대 인도와 이집트는 2014년 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각각 GDP의 8.5%, 13.2%에 달할 전망이다. 터키는 수출상품이 저가 상품에 집중돼 있고 원자재 해외 의존도가 높아 경상수지 적자 규모가 GDP의 7.2%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집트, 멕시코, 터키, 인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의 외환보유액은단기외채와 3개월분 수입액의 합에 못 미친다. 특히 터키의 외환보유액은 960억달러로 단기외채의 0.8배, 3개월분 수입액의 1.3%에 불과해 외환유동성 부족이 심각하다.
임영석 수은 조사역은 "미국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개시에 따른 달러화 강세는 현지화 기준 외채규모를 증가시켜 신흥국의 채무상환 부담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선진국 통화당국이 양적완화 조치를 점진적으로 철회하는 데 실패하면 선진국 시장의 채권금리가 급등해 신흥국에서 급속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가능성을 시사한 뒤 미국 국채금리가 1%포인트 급등하자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에서는 금융위기 가능성이 고조된 바 있다.
임 조사역은 "신흥국에 유동성 위기가 발생하면 환율급변에 따른 환차손, 현지거래처 지급 거절에 따른 대금회수 위험 증가, 현지수요 위축에 따른 수출 축소 등피해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신흥국에 진출한 기업은 무역금융 관련 상품을 활용하거나 결재통화를 변경해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cla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