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사고 관련 발언 추가. 김종준 하나은행장 불참 내용 추가. 기사 전반적 보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자들이 위기 대응이 아닌 성장세확대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등 세계 경제의 현안이 크게 바뀌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18일 한은에서 열린 은행장 초청 금융협의회에서 "G20 회의 참석자들이 그레이트 트랜지션(Great Transition), 즉 세계 경제의 대전환 이라는 표현을 썼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전에는 위기 대응, 금융 안정을 논의했는데 이번 회의에서는어떻게 하면 성장세를 더 확대하느냐로 이슈가 전환됐다"며 "지금까지 세계 경제의성장주도 세력은 신흥국이었는데 이제는 (주도 세력이) 선진국으로 넘어갔다는 것도대전환의 하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장세를 끌어올리고자 구체적인 실천 과제를 정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게 참석자들의 견해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미약하다고 지적하며 국제금융시장에서도 변동성 확대,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의 저물가 현상, 지정학적리스크 등을 위험요인으로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명확한 소통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겠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이 총재는 '희망적'인 발언이라고 평가하며 "연준 정책의 불확실성에 따른 리스크 요인은 줄어든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이덕훈 수출입은행장과 아제이 칸왈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장 등이 취임 이후 처음 참석했다. 저축은행 부당지원 혐의로 전날 금융감독원에서문책경고(상당) 징계를 받은 김종준 하나은행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한편 이 총재는 최근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가슴 아픈 일이 일어났다"고 언급하며 "많은 젊은이들이 구조되기를 기원한다. 다 같은 심정이 아닌가싶다"라고 말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자들이 위기 대응이 아닌 성장세확대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등 세계 경제의 현안이 크게 바뀌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18일 한은에서 열린 은행장 초청 금융협의회에서 "G20 회의 참석자들이 그레이트 트랜지션(Great Transition), 즉 세계 경제의 대전환 이라는 표현을 썼다"고 소개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전에는 위기 대응, 금융 안정을 논의했는데 이번 회의에서는어떻게 하면 성장세를 더 확대하느냐로 이슈가 전환됐다"며 "지금까지 세계 경제의성장주도 세력은 신흥국이었는데 이제는 (주도 세력이) 선진국으로 넘어갔다는 것도대전환의 하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성장세를 끌어올리고자 구체적인 실천 과제를 정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게 참석자들의 견해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의 회복세가 미약하다고 지적하며 국제금융시장에서도 변동성 확대,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의 저물가 현상, 지정학적리스크 등을 위험요인으로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명확한 소통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줄이겠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이 총재는 '희망적'인 발언이라고 평가하며 "연준 정책의 불확실성에 따른 리스크 요인은 줄어든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금융협의회에는 이덕훈 수출입은행장과 아제이 칸왈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장 등이 취임 이후 처음 참석했다. 저축은행 부당지원 혐의로 전날 금융감독원에서문책경고(상당) 징계를 받은 김종준 하나은행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한편 이 총재는 최근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 "가슴 아픈 일이 일어났다"고 언급하며 "많은 젊은이들이 구조되기를 기원한다. 다 같은 심정이 아닌가싶다"라고 말했다.
cindy@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