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7일 영업을 재개하는 국민·농협·롯데 등 카드 3사는 올해 초 사상 초유의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문을 걸어닫고 3개월의 '근신' 기간을 거쳤다.
이들은 영업 재개에 맞춰 신제품을 선보이거나 사은 행사를 벌이는 등 다시 손님을 맞을 채비를 하고 있다. 실추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광고도 제작해놨다.
그러나 '온 국민의 정보가 다 털렸다'는 말이 나올 만큼 정보가 대량 유출돼 공적(公敵)으로까지 몰린 이들 카드사가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는 적지 않은고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온 나라 뒤흔든 정보유출, 그 후 4개월 국민·농협·롯데카드에서 1억400만건의 고객 개인정보가 통째로 빠져나간 사실은 지난 1월 8일 검찰 수사로 드러났다. 국민카드가 5천300만명으로 가장 많고 롯데카드와 농협카드에서도 각각 2천600만명과 2천500만명의 정보가 유출됐다.
유출된 정보에는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대출거래 내역, 휴대전화번호, 직장,주소 등 신상을 낱낱이 보여주는 민감한 정보가 담겼다. 카드 불법 복제로 이어질수 있는 비밀번호와 CVC가 빠져나가지 않은 게 그나마 다행으로 여겨졌다.
고객들은 불안한 나머지 카드 비밀번호를 바꾸거나 아예 카드를 해지·탈회하려고 몰려들었다. 1개월도 채 안 돼 카드 회원 84만명이 탈퇴하고 223만3천장의 카드가 해지되는 '카드런'이 발생한 것이다.
대량의 정보유출은 고객들의 공분을 넘어 개인정보 수집·보유·폐기 실태에 대한 비난 여론으로 이어졌다. 주민번호 중심의 개인 식별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카드사 사장들은 연방 머리를 조아렸다. 이들은 사태의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물러나야 했다. 그럼에도 분노는 허탈감으로 이어졌고, 이미 다 빠져나간 마당에 무슨 소용이냐는 식의 '정보유출 무감증(無感症)'이란 말도 생겼다.
해당 카드사들은 당국의 중징계를 받았다. 2월 17일부터 3개월간 신규 회원 모집과 카드 발급은 물론 통신판매, 여행알선, 보험대리(카드슈랑스)가 모두 금지되는영업정지 조처가 내려졌다.
정보유출 사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당국의 미숙함도 드러났다. 대표적인 게 금융당국의 텔레마케팅(TM) 전면 금지로, 애꿎은 TM 종사자는 물론 정보유출과 무관한보험설계사까지 당국의 초법적인 조치에 밥줄이 끊길 처지에 놓였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11일 "정보유출 사태로 안전보다 수익에 치중하는 금융사의영업 행태와 '재탕' 대책이나 무리한 대책만 반복하는 당국의 문제점이 한꺼번에 노출됐다"고 지적했다.
◇카드 3사 재기 몸부림…신뢰회복 가능할까 카드사들은 영업정지 기간을 '기나긴 터널'에 비유했다. 실제로 이 기간에 국민카드는 500여억원, 농협카드는 400여억원, 롯데카드는 300여억원의 금전적 손해를봤다. 신뢰도 추락에 따른 무형(無形)의 손실은 돈으로 셀 수 없다.
터널의 출구를 앞두고 카드사들은 저마다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신뢰 회복과재발 방지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영업을 개시하기 위한 준비로 신규상품과 이미지 개선 광고도 마련했다.
국민카드는 기존의 간판 상품인 '훈민정음 카드'의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체크카드 신상품 출시도 준비 중이다. 영업정지에도 국민카드를 떠나지 않은 고객을위한 사은행사도 준비 중이다. 지난 8일부터 기업 이미지 광고도 시작했다.
농협카드도 국내외 모든 가맹점에서 이용 횟수나 이용 한도에 제한을 받지 않고할인이 되는 신용카드를 출시한다. 영업재개 기념으로 모든 회원에 2~3개월 무이자할부, 5대 온라인 쇼핑몰 청구 할인 등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롯데카드는 영업 재개에 대비해 업무 프로세스를 재정비하고, 홈페이지와 콜센터 운영도 점검 중이다.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구성해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영업이 재개된다고 당장 모든 게 원상복구되는 것은 아니다. 잃어버린신뢰를 회복하고 이미 상당한 타격을 입은 영업력을 재가동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걸릴 전망이다.
정보유출에 따른 소송 문제도 남아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된 소송만 33건, 원고는 11만7천여명에 이른다. 개인당 정보유출 건수에 따라 적게는 10만원에서많게는 100만원까지 피해 배상을 청구한 상태다.
정보유출의 책임을 진 당시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징계도 다음 달 이뤄질 전망이다. 현재로선 '해임권고 상당' 수준의 중징계가 불가피하다는 게 중론이다. 이들은 이미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다시는 금융권에 발을 붙이지 못하게 된다.
president21@yna.co.kr, zheng@yna.co.kr,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들은 영업 재개에 맞춰 신제품을 선보이거나 사은 행사를 벌이는 등 다시 손님을 맞을 채비를 하고 있다. 실추된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광고도 제작해놨다.
그러나 '온 국민의 정보가 다 털렸다'는 말이 나올 만큼 정보가 대량 유출돼 공적(公敵)으로까지 몰린 이들 카드사가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는 적지 않은고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온 나라 뒤흔든 정보유출, 그 후 4개월 국민·농협·롯데카드에서 1억400만건의 고객 개인정보가 통째로 빠져나간 사실은 지난 1월 8일 검찰 수사로 드러났다. 국민카드가 5천300만명으로 가장 많고 롯데카드와 농협카드에서도 각각 2천600만명과 2천500만명의 정보가 유출됐다.
유출된 정보에는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대출거래 내역, 휴대전화번호, 직장,주소 등 신상을 낱낱이 보여주는 민감한 정보가 담겼다. 카드 불법 복제로 이어질수 있는 비밀번호와 CVC가 빠져나가지 않은 게 그나마 다행으로 여겨졌다.
고객들은 불안한 나머지 카드 비밀번호를 바꾸거나 아예 카드를 해지·탈회하려고 몰려들었다. 1개월도 채 안 돼 카드 회원 84만명이 탈퇴하고 223만3천장의 카드가 해지되는 '카드런'이 발생한 것이다.
대량의 정보유출은 고객들의 공분을 넘어 개인정보 수집·보유·폐기 실태에 대한 비난 여론으로 이어졌다. 주민번호 중심의 개인 식별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카드사 사장들은 연방 머리를 조아렸다. 이들은 사태의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물러나야 했다. 그럼에도 분노는 허탈감으로 이어졌고, 이미 다 빠져나간 마당에 무슨 소용이냐는 식의 '정보유출 무감증(無感症)'이란 말도 생겼다.
해당 카드사들은 당국의 중징계를 받았다. 2월 17일부터 3개월간 신규 회원 모집과 카드 발급은 물론 통신판매, 여행알선, 보험대리(카드슈랑스)가 모두 금지되는영업정지 조처가 내려졌다.
정보유출 사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당국의 미숙함도 드러났다. 대표적인 게 금융당국의 텔레마케팅(TM) 전면 금지로, 애꿎은 TM 종사자는 물론 정보유출과 무관한보험설계사까지 당국의 초법적인 조치에 밥줄이 끊길 처지에 놓였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11일 "정보유출 사태로 안전보다 수익에 치중하는 금융사의영업 행태와 '재탕' 대책이나 무리한 대책만 반복하는 당국의 문제점이 한꺼번에 노출됐다"고 지적했다.
◇카드 3사 재기 몸부림…신뢰회복 가능할까 카드사들은 영업정지 기간을 '기나긴 터널'에 비유했다. 실제로 이 기간에 국민카드는 500여억원, 농협카드는 400여억원, 롯데카드는 300여억원의 금전적 손해를봤다. 신뢰도 추락에 따른 무형(無形)의 손실은 돈으로 셀 수 없다.
터널의 출구를 앞두고 카드사들은 저마다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신뢰 회복과재발 방지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영업을 개시하기 위한 준비로 신규상품과 이미지 개선 광고도 마련했다.
국민카드는 기존의 간판 상품인 '훈민정음 카드'의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체크카드 신상품 출시도 준비 중이다. 영업정지에도 국민카드를 떠나지 않은 고객을위한 사은행사도 준비 중이다. 지난 8일부터 기업 이미지 광고도 시작했다.
농협카드도 국내외 모든 가맹점에서 이용 횟수나 이용 한도에 제한을 받지 않고할인이 되는 신용카드를 출시한다. 영업재개 기념으로 모든 회원에 2~3개월 무이자할부, 5대 온라인 쇼핑몰 청구 할인 등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롯데카드는 영업 재개에 대비해 업무 프로세스를 재정비하고, 홈페이지와 콜센터 운영도 점검 중이다.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특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구성해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영업이 재개된다고 당장 모든 게 원상복구되는 것은 아니다. 잃어버린신뢰를 회복하고 이미 상당한 타격을 입은 영업력을 재가동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걸릴 전망이다.
정보유출에 따른 소송 문제도 남아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된 소송만 33건, 원고는 11만7천여명에 이른다. 개인당 정보유출 건수에 따라 적게는 10만원에서많게는 100만원까지 피해 배상을 청구한 상태다.
정보유출의 책임을 진 당시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징계도 다음 달 이뤄질 전망이다. 현재로선 '해임권고 상당' 수준의 중징계가 불가피하다는 게 중론이다. 이들은 이미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다시는 금융권에 발을 붙이지 못하게 된다.
president21@yna.co.kr, zheng@yna.co.kr, redflag@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