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1조원 이상 지방공기업 11곳
지방공기업의 부채가 5년만에 27조원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부채가 1조원을 넘는 지방공기업은 모두 11곳으로, 이들이 진 빚만 50조원에 육박한다.
이는 지방선거 과정에서 남발된 공약들을 무리하게 추진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나오고 있다.
5일 지방공기업 경영정보공개시스템(클린아이)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운영하는 지방공기업 396곳의 작년 말 현재 부채는 74조323억원으로 1년 전(72조2천33억원)보다 1조8천290억원 증가했다.
지방공기업들의 부채 규모는 2008년 47조3천억원에서 5년 만에 56.5%(27조원)급증한 것이다.
부채증가율이 2009년 23%에서 2010년 8%, 2011년 7.9%, 2012년 6.9%, 작년 2%대등으로 떨어진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부채의 질이 점차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11개 지방공기업의 부채가 각각 1조원을 넘어섰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경북지역개발기금이 '부채 1조 클럽'에 새로 들어갔다.
이들의 부채 총액은 49조4천553억원으로 전체 지방공기업 부채의 66.8%를 차지한다.
부채가 1조원 이상인 지방공기업은 주로 아파트·임대주택·산업단지 등을 개발하는 도시개발공사와 지역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지역개발기금이다.
SH공사의 부채가 18조4천억원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시공사(8조3천억원), 인천도시공사(7조8천억원), 경기지역개발기금(3조7천억원), 서울메트로(3조3천억원)가 뒤를 이었다.
보금자리사업, 혁신도시 등 수지가 맞지 않는 대규모 국책사업을 떠맡은 것이도시개발공사 부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SH공사는 동남권 유통단지(가든파이브)의 저조한 분양률, 인천도시공사는 검단신도시 등 주택사업 추진 탓에 부채가 쌓였다.
상·하수도와 도시철도 등 공공요금이 현실화하지 않은 것도 지방공기업 부채가늘어난 요인중 하나다. 2012년 기준으로 3년 연속 적자를 낸 148개 지방공기업 가운데 134개가 상·하수도, 도시철도 관련 기업이다.
부채가 자산보다 166배나 많은 지방공기업도 있다.
태백관광개발공사의 부채비율은 1만6천625%에 이르렀다.
부산시설공단(983%), 인천환경공단(871%), 용인도시공사(448%), 하남도시공사(426%), 안산도시공사(358%) 등 부채비율이 300%를 초과하는 공기업은 32곳이었다.
지방공기업들은 경영실적 악화로 스스로 빚을 갚을 능력 또한 부족한 상태다.
지난해 지방공기업들의 영업적자는 1조2천294억원, 당기순손실은 1조5천165억원에 이르렀다. 당기 순손실(적자) 기업은 192곳(48%)으로 1년 전보다 8곳이 늘었다.
부채가 1조원 이상인 11개 공기업 중 경북지역개발기금(-100억원), 경남지역개발기금(-31억원), 인천경제자유구역청(-25억원)은 지난해 영업적자를 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지방공기업의 부채가 5년만에 27조원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부채가 1조원을 넘는 지방공기업은 모두 11곳으로, 이들이 진 빚만 50조원에 육박한다.
이는 지방선거 과정에서 남발된 공약들을 무리하게 추진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나오고 있다.
5일 지방공기업 경영정보공개시스템(클린아이)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운영하는 지방공기업 396곳의 작년 말 현재 부채는 74조323억원으로 1년 전(72조2천33억원)보다 1조8천290억원 증가했다.
지방공기업들의 부채 규모는 2008년 47조3천억원에서 5년 만에 56.5%(27조원)급증한 것이다.
부채증가율이 2009년 23%에서 2010년 8%, 2011년 7.9%, 2012년 6.9%, 작년 2%대등으로 떨어진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부채의 질이 점차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11개 지방공기업의 부채가 각각 1조원을 넘어섰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경북지역개발기금이 '부채 1조 클럽'에 새로 들어갔다.
이들의 부채 총액은 49조4천553억원으로 전체 지방공기업 부채의 66.8%를 차지한다.
부채가 1조원 이상인 지방공기업은 주로 아파트·임대주택·산업단지 등을 개발하는 도시개발공사와 지역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지역개발기금이다.
SH공사의 부채가 18조4천억원으로 가장 많고 경기도시공사(8조3천억원), 인천도시공사(7조8천억원), 경기지역개발기금(3조7천억원), 서울메트로(3조3천억원)가 뒤를 이었다.
보금자리사업, 혁신도시 등 수지가 맞지 않는 대규모 국책사업을 떠맡은 것이도시개발공사 부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SH공사는 동남권 유통단지(가든파이브)의 저조한 분양률, 인천도시공사는 검단신도시 등 주택사업 추진 탓에 부채가 쌓였다.
상·하수도와 도시철도 등 공공요금이 현실화하지 않은 것도 지방공기업 부채가늘어난 요인중 하나다. 2012년 기준으로 3년 연속 적자를 낸 148개 지방공기업 가운데 134개가 상·하수도, 도시철도 관련 기업이다.
부채가 자산보다 166배나 많은 지방공기업도 있다.
태백관광개발공사의 부채비율은 1만6천625%에 이르렀다.
부산시설공단(983%), 인천환경공단(871%), 용인도시공사(448%), 하남도시공사(426%), 안산도시공사(358%) 등 부채비율이 300%를 초과하는 공기업은 32곳이었다.
지방공기업들은 경영실적 악화로 스스로 빚을 갚을 능력 또한 부족한 상태다.
지난해 지방공기업들의 영업적자는 1조2천294억원, 당기순손실은 1조5천165억원에 이르렀다. 당기 순손실(적자) 기업은 192곳(48%)으로 1년 전보다 8곳이 늘었다.
부채가 1조원 이상인 11개 공기업 중 경북지역개발기금(-100억원), 경남지역개발기금(-31억원), 인천경제자유구역청(-25억원)은 지난해 영업적자를 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