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발표 지수 추가, 안전 영역 지표 개선 상황 수정 등>>통계청, 측정 지표 체계 공개…안전·환경 상대적 부진
한국 국민의 '삶의 질'을 여러 통계지표를 통해종합적으로 측정한 결과, 이전보다 34개 항목은 개선, 22개 항목은 악화하는 추세인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 고용, 임금 등 물질 부문에서는 개선세가 뚜렷했으나 안전과 환경, 가족·공동체, 문화·여가 등 비물질 부문은 그렇지 못했고, 특히 건강 영역에서눈에 띄는 악화 추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30일 총 12개 영역 81종 지표로 구성된 '국민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를 발표했다. 이중 70종 지표값은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공개했으나 11종 지표값은 아직 한 번밖에 측정이 안 된 탓에 증감 비교가 어렵다며 내년에 공개하겠다고밝혔다.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는 크게 ▲소득·소비·자산 ▲고용·임금 ▲사회복지▲주거 등 4개의 물질 부문과 ▲건강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 ▲환경 ▲주관적 웰빙 등 8개 비물질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공개된 70종 지표 중 비교대상 전년도 대비 개선된 지표는 34종(48.6%),변화가 없는 지표는 14종(20.0%), 악화된 지표는 22종(31.4%)이었다.
제자리 걸음 수준이거나 나빠진 지표가 절반이 넘는 68.6%인 셈이다. 그러나 민경삼 통계개발원 동향분석실장은 "전반적으로 개선 지표가 34개로 악화 지표보다 많아 삶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물질 부문은 공개지표 21종 중 개선 14종, 악화 6종, 보합 1종으로 전반적으로 개선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물질 부문은 공개지표 49종 중 개선 20종, 악화 16종, 보합 13종으로 개선 지표 수가 악화 지표 수를 약간 앞지르는 수준이었다.
영역별로는 소득·소비·자산 영역에서 8개 지표 중 5개 개선, 고용·임금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5개 개선, 문화·여가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4개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수명과 비만율 등으로 구성된 건강 영역은 공개된 8개 지표 중 개선이 1개, 악화가 5개로 전반적인 악화 추세를 보였다. 강력범죄 발생률과 아동학대피해 경험률 등 안전 영역도 8개 지표 중 개선 2개, 보합 4개, 악화 2개로 성적이좋지 않았다.
통계청은 '국민 삶의 질 지표' 홈페이지(http://qol.kostat.go.kr)를 통해 관련각 지표를 2000년부터 최근까지의 시계열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제비교나 종합지수는 산출하지 않는다.
통계청은 2015년부터는 이번에 미공개된 '삶에 대한 만족도' 지표 등 주관적 웰빙 영역을 함께 발표할 예정이며, 앞으로 국민 의견 등을 수렴해 지표 체계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 국민의 '삶의 질'을 여러 통계지표를 통해종합적으로 측정한 결과, 이전보다 34개 항목은 개선, 22개 항목은 악화하는 추세인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비, 고용, 임금 등 물질 부문에서는 개선세가 뚜렷했으나 안전과 환경, 가족·공동체, 문화·여가 등 비물질 부문은 그렇지 못했고, 특히 건강 영역에서눈에 띄는 악화 추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30일 총 12개 영역 81종 지표로 구성된 '국민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를 발표했다. 이중 70종 지표값은 홈페이지를 통해 바로 공개했으나 11종 지표값은 아직 한 번밖에 측정이 안 된 탓에 증감 비교가 어렵다며 내년에 공개하겠다고밝혔다.
'삶의 질' 측정 지표 체계는 크게 ▲소득·소비·자산 ▲고용·임금 ▲사회복지▲주거 등 4개의 물질 부문과 ▲건강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 ▲환경 ▲주관적 웰빙 등 8개 비물질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공개된 70종 지표 중 비교대상 전년도 대비 개선된 지표는 34종(48.6%),변화가 없는 지표는 14종(20.0%), 악화된 지표는 22종(31.4%)이었다.
제자리 걸음 수준이거나 나빠진 지표가 절반이 넘는 68.6%인 셈이다. 그러나 민경삼 통계개발원 동향분석실장은 "전반적으로 개선 지표가 34개로 악화 지표보다 많아 삶의 질이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보면 물질 부문은 공개지표 21종 중 개선 14종, 악화 6종, 보합 1종으로 전반적으로 개선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물질 부문은 공개지표 49종 중 개선 20종, 악화 16종, 보합 13종으로 개선 지표 수가 악화 지표 수를 약간 앞지르는 수준이었다.
영역별로는 소득·소비·자산 영역에서 8개 지표 중 5개 개선, 고용·임금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5개 개선, 문화·여가 영역에서 6개 지표 중 4개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수명과 비만율 등으로 구성된 건강 영역은 공개된 8개 지표 중 개선이 1개, 악화가 5개로 전반적인 악화 추세를 보였다. 강력범죄 발생률과 아동학대피해 경험률 등 안전 영역도 8개 지표 중 개선 2개, 보합 4개, 악화 2개로 성적이좋지 않았다.
통계청은 '국민 삶의 질 지표' 홈페이지(http://qol.kostat.go.kr)를 통해 관련각 지표를 2000년부터 최근까지의 시계열 자료로 제공하고 있다. ★★다만 국제비교나 종합지수는 산출하지 않는다.
통계청은 2015년부터는 이번에 미공개된 '삶에 대한 만족도' 지표 등 주관적 웰빙 영역을 함께 발표할 예정이며, 앞으로 국민 의견 등을 수렴해 지표 체계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charg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