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제철 신청서 제출, 내일 채권단 회의 등 내용 추가>>동부 신청서 제출…채권단 보완요청으로 접수 보류내일 산은-신보 끝장토론…1일 오전 10시 채권단 회의
동부제철[016380]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 아닌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신용보증기금(신보)이 위험부담 경감 방안을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어 최종확정까지는 건너야 할 장애물이 남은 상태다.
동부제철은 30일 오후 자율협약 신청서를 채권단에 제출했다. 일부 보완사안이있어 접수가 보류된 상태이나 자율협약이 받아들여지는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보인다.
이에앞서 채권단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회의를 열고 동부제철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했다. 자율협약 진행을 위한 채권단 실무자 간 사전협의였다.
회의에는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 수출입은행, 신보, 농협, 하나·신한·우리·국민·외환·기업은행 등 11개 채권 금융기관이 참여했다.
신보는 자율협약 당사자는 아니지만 자율협약 체결을 위해서는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통한 신보의 지원 참여가 필수인 상황이다. 신보의 차환발행 부담몫은 240억원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회의결과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밝히기 어렵지만 동부제철의 자율협약을 전제로 논의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과 동부제철의 자율협약 추진을 두고 최근 진행된상황을 공유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회의에서 협약 채권기관들은 자율협약 추진에 별다른 이견이 없었지만 신보 측이 우선변제권 등 위험부담 경감책을 요구해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보 관계자는 "불확실성 해소 방안을 두고 채권단 측과의 협의가 마무리되지않았다"며 "지원 조건에 대한 협의가 마무리돼야 참여 여부를 최종 결정지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다른 채권 금융기관 측은 리스크 부담을 분담하지 않고 신보 측에만 특혜를 주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팽팽히 맞서는 분위기다.
신보와 채권단은 내달 1일 오전 10시까지 '끝장토론'을 열고 동부제철 회사채차환지원여부를 결론지을 예정이다.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신보입장에서는 충분히 이해가 된다"면서도 "그러나 큰 방향은 자율협약으로 갈 것"으로 말했다.
자율협약이든 워크아웃이든 채권단 간 부담의 문제일 뿐 기업 입장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는 설명도 나온다.
홍기택 KDB산은금융지주 회장은 이날 명동 은행회관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동부제철은 자율협약으로 가게될 것"이라며 "동부제철이 워크아웃으로 가나 자율협약으로 가나 회사(동부) 입장에서는 다를 것이 없다"고 기자들에게 설명했다.
동부제철은 30일 오후 자율협약 신청서를 채권단에 제출했다. 다만 일부 보완사항이 있어 접수가 마무리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동부제철이 오후 자율협약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일부 사항에대해 보완을 요구한 상태"라며 "아직 접수는 완료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내달 1일 오전 10시까지 신보와 협의를 마치고 곧이어 동부제철의 자율협약 관련 실무자급 채권은행 회의를 열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 채권단은 신보와의 협상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동부제철 자율협약관련 논의를 할 예정이다.
동부제철은 자율협약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동부그룹 비금융 부문 지주회사인 동부CNI는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지면서 채권단의 도움이 불가능하게 됐다.
동부 채권단 관계자는 30일 "동부CNI의 회사채 등급이 투기등급으로 하락했기때문에 회사채 차환발행을 지원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외부 정황을 고려하면 결국 채권단이 긴급 지원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당국으로서는 동부CNI가 법정관리로 가지 않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현재 파악하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yks@yna.co.kr, taejong75@yna.co.kr,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동부제철[016380]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 아닌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신용보증기금(신보)이 위험부담 경감 방안을 조건으로 요구하고 있어 최종확정까지는 건너야 할 장애물이 남은 상태다.
동부제철은 30일 오후 자율협약 신청서를 채권단에 제출했다. 일부 보완사안이있어 접수가 보류된 상태이나 자율협약이 받아들여지는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보인다.
이에앞서 채권단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회의를 열고 동부제철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했다. 자율협약 진행을 위한 채권단 실무자 간 사전협의였다.
회의에는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 수출입은행, 신보, 농협, 하나·신한·우리·국민·외환·기업은행 등 11개 채권 금융기관이 참여했다.
신보는 자율협약 당사자는 아니지만 자율협약 체결을 위해서는 회사채 신속인수제를 통한 신보의 지원 참여가 필수인 상황이다. 신보의 차환발행 부담몫은 240억원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회의결과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밝히기 어렵지만 동부제철의 자율협약을 전제로 논의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과 동부제철의 자율협약 추진을 두고 최근 진행된상황을 공유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회의에서 협약 채권기관들은 자율협약 추진에 별다른 이견이 없었지만 신보 측이 우선변제권 등 위험부담 경감책을 요구해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보 관계자는 "불확실성 해소 방안을 두고 채권단 측과의 협의가 마무리되지않았다"며 "지원 조건에 대한 협의가 마무리돼야 참여 여부를 최종 결정지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다른 채권 금융기관 측은 리스크 부담을 분담하지 않고 신보 측에만 특혜를 주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팽팽히 맞서는 분위기다.
신보와 채권단은 내달 1일 오전 10시까지 '끝장토론'을 열고 동부제철 회사채차환지원여부를 결론지을 예정이다.
금융위원회 고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신보입장에서는 충분히 이해가 된다"면서도 "그러나 큰 방향은 자율협약으로 갈 것"으로 말했다.
자율협약이든 워크아웃이든 채권단 간 부담의 문제일 뿐 기업 입장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는 설명도 나온다.
홍기택 KDB산은금융지주 회장은 이날 명동 은행회관 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동부제철은 자율협약으로 가게될 것"이라며 "동부제철이 워크아웃으로 가나 자율협약으로 가나 회사(동부) 입장에서는 다를 것이 없다"고 기자들에게 설명했다.
동부제철은 30일 오후 자율협약 신청서를 채권단에 제출했다. 다만 일부 보완사항이 있어 접수가 마무리되지는 않은 상황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동부제철이 오후 자율협약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일부 사항에대해 보완을 요구한 상태"라며 "아직 접수는 완료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채권단은 내달 1일 오전 10시까지 신보와 협의를 마치고 곧이어 동부제철의 자율협약 관련 실무자급 채권은행 회의를 열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 채권단은 신보와의 협상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동부제철 자율협약관련 논의를 할 예정이다.
동부제철은 자율협약으로 가닥을 잡았으나 동부그룹 비금융 부문 지주회사인 동부CNI는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지면서 채권단의 도움이 불가능하게 됐다.
동부 채권단 관계자는 30일 "동부CNI의 회사채 등급이 투기등급으로 하락했기때문에 회사채 차환발행을 지원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외부 정황을 고려하면 결국 채권단이 긴급 지원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당국으로서는 동부CNI가 법정관리로 가지 않도록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현재 파악하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yks@yna.co.kr, taejong75@yna.co.kr,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