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로 정기예금의 목돈 마련 기능이 약화되면서 가입기간 1년 미만의 정기예금 가입비중이 4분의 1로 늘어났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가입액(577조4천430억원) 중 가입기간 1년 미만짜리(146조3천91억원)의 비중은 25.3%에 달했다.
1년미만 짜리 정기예금의 비중은 정기예금 평균 금리(신규가입액 기준)가 3.4%대이던 2년 전만 해도 22.9%에 그쳤다.
1년미만 단기 가입 비중이 상승한 것은 목돈 마련 상품으로서 정기예금의 매력이 저금리 때문에 약화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정기예금의 평균 금리(신규가입액 기준)는 2012년 6월 3.63%였으나 올해 6월에는 2.55%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기예금의 대표 상품이 아직도 1년짜리인 만큼 가입기간 1년이상 2년미만짜리(396조4천177억원)의 비중은 68.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만, 2년 전의 70.7%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다.
가입기간 2년이상 정기예금의 비중도 2년 전 6.4%에서 6.0%로 다소 낮아졌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가입액(577조4천430억원) 중 가입기간 1년 미만짜리(146조3천91억원)의 비중은 25.3%에 달했다.
1년미만 짜리 정기예금의 비중은 정기예금 평균 금리(신규가입액 기준)가 3.4%대이던 2년 전만 해도 22.9%에 그쳤다.
1년미만 단기 가입 비중이 상승한 것은 목돈 마련 상품으로서 정기예금의 매력이 저금리 때문에 약화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정기예금의 평균 금리(신규가입액 기준)는 2012년 6월 3.63%였으나 올해 6월에는 2.55%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기예금의 대표 상품이 아직도 1년짜리인 만큼 가입기간 1년이상 2년미만짜리(396조4천177억원)의 비중은 68.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만, 2년 전의 70.7%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다.
가입기간 2년이상 정기예금의 비중도 2년 전 6.4%에서 6.0%로 다소 낮아졌다.
ev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