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브리핑 및 기재부 설명 추가해서 종합2보.>>석유류·도시가스 가격하락이 담뱃값 인상효과 상쇄담뱃 가격 인상 효과 빼면 물가상승률 0.2%에 그쳐
1월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0%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나오고 있으나 정부는 그 가능성은 없다는입장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전년 같은 달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3년 10월 0.9%를 기록한 이후 13개월 연속 1%대를 기록하다가 지난해 12월 0%대(0.8%)로 내려왔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4% 올라 전년 동월비 기준으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2%대의 상승세를 회복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2.3% 상승해 역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2%대에 진입했다.
생활물가 지수는 식품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0.3% 떨어졌고 신선식품지수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하락했다.
농축산물은 1년 전보다 0.7% 상승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양파(-29.2%)와 감(-26.9%), 배추(-22.1%) 등의 가격이 대폭 떨어졌지만, 상추(58.0%)와 시금치(52.3%), 고등어(13.8%), 돼지고기(10.5%)의 가격이 올라 이를 상쇄했다.
공업제품은 전년동월대비 0.1% 올라 3개월 만에 상승했다.
휘발유(-20.0%), 경유(-21.6%), LPG(-21.0%.자동차용) 등의 내림새가 커 국제유가 하락 영향이 두드러졌으나 올해 가격이 대폭 오른 담배(83.7%, 국산)의 영향 등으로 오른 것으로 보인다.
상수도료(1.0%)가 전년 동월대비 올랐지만 도시가스가 6.1% 떨어져 전기·수도·가스는 2.6% 하락했다.
올해부터 갑당 2천원 오른 담뱃값은 소비자물가를 0.58% 포인트 끌어올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담뱃값이 오르지 않았더라면 전년 동월 대비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22%(0.
8-0.58)에 그쳤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에 대해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담뱃값 상승과 마찬가지로 석유류 및도시가스 가격 하락도 1월의 특이요인"이라며 "석유류·도시가스의 물가 하락 기여도는 1.23%포인트로, 담배 상승 기여도의 두 배 이상"이라고 강조했다.
담뱃값 인상의 물가 상승 효과를 석유류 가격과 도시가스 요금 하락이 상쇄했다는 의미다.
일각의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김 과장은 "가격 하락 품목이 석유류와 농산물정도"라며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손웅기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도 "디플레이션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1월에는 석유류 등 원자재값, 농산물 가격 등 공급 측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며 "근원물가가 2%대를 회복한 것만 봐도 수요 측면의 물가는 나쁘다고 할 수없다"고 밝혔다.
손 과장은 "보통 설 명절이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지난해에는 설이 1월이었지만 올해는 2월인 것도 올해 1월 물가상승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서비스는 1년 전보다 1.5%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 상승했다. 외래 진료비(1.7%), 요양시설이용료(6.5%), 하수도료(4.7%)는 오름세를 보였지만 국공립대학교 납입금(-0.4%)는내렸다.
개인서비스는 1년 전보다 1.7% 올랐다. 고등학생 학원비(3.7%), 중학생 학원비(2.7%), 공동주택관리비(2.5%), 초등학생 학원비(2.4%) 등은 상승했지만 학교 급식비(-6.2%), 해외 단체여행비(-3.9%), 국제 항공료(-8.6%), 가정학습지(-2.5%) 등은 내렸다.
집세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 전월보다 0.2% 각각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내수 회복에 따른 수요측 상승 압력 등으로 앞으로 물가상승률의상승폭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재부는 그러면서 "최근 국제유가 하락 효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가격·유통구조 개선, 경쟁 촉진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국제유가 하락이 공공요금에 적기에 반영되고 석유류 등 분야별·품목별 유통구조 개선 대책을 추진해나가는 한편, 설 연휴에 대비해 주요 생필품 가격안정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lkbin@yna.co.kr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1월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0%대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디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나오고 있으나 정부는 그 가능성은 없다는입장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전년 같은 달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3년 10월 0.9%를 기록한 이후 13개월 연속 1%대를 기록하다가 지난해 12월 0%대(0.8%)로 내려왔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4% 올라 전년 동월비 기준으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2%대의 상승세를 회복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2.3% 상승해 역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2%대에 진입했다.
생활물가 지수는 식품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0.3% 떨어졌고 신선식품지수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 하락했다.
농축산물은 1년 전보다 0.7% 상승해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양파(-29.2%)와 감(-26.9%), 배추(-22.1%) 등의 가격이 대폭 떨어졌지만, 상추(58.0%)와 시금치(52.3%), 고등어(13.8%), 돼지고기(10.5%)의 가격이 올라 이를 상쇄했다.
공업제품은 전년동월대비 0.1% 올라 3개월 만에 상승했다.
휘발유(-20.0%), 경유(-21.6%), LPG(-21.0%.자동차용) 등의 내림새가 커 국제유가 하락 영향이 두드러졌으나 올해 가격이 대폭 오른 담배(83.7%, 국산)의 영향 등으로 오른 것으로 보인다.
상수도료(1.0%)가 전년 동월대비 올랐지만 도시가스가 6.1% 떨어져 전기·수도·가스는 2.6% 하락했다.
올해부터 갑당 2천원 오른 담뱃값은 소비자물가를 0.58% 포인트 끌어올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담뱃값이 오르지 않았더라면 전년 동월 대비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22%(0.
8-0.58)에 그쳤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에 대해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담뱃값 상승과 마찬가지로 석유류 및도시가스 가격 하락도 1월의 특이요인"이라며 "석유류·도시가스의 물가 하락 기여도는 1.23%포인트로, 담배 상승 기여도의 두 배 이상"이라고 강조했다.
담뱃값 인상의 물가 상승 효과를 석유류 가격과 도시가스 요금 하락이 상쇄했다는 의미다.
일각의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김 과장은 "가격 하락 품목이 석유류와 농산물정도"라며 "디플레이션을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손웅기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도 "디플레이션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1월에는 석유류 등 원자재값, 농산물 가격 등 공급 측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며 "근원물가가 2%대를 회복한 것만 봐도 수요 측면의 물가는 나쁘다고 할 수없다"고 밝혔다.
손 과장은 "보통 설 명절이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지난해에는 설이 1월이었지만 올해는 2월인 것도 올해 1월 물가상승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서비스는 1년 전보다 1.5%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 상승했다. 외래 진료비(1.7%), 요양시설이용료(6.5%), 하수도료(4.7%)는 오름세를 보였지만 국공립대학교 납입금(-0.4%)는내렸다.
개인서비스는 1년 전보다 1.7% 올랐다. 고등학생 학원비(3.7%), 중학생 학원비(2.7%), 공동주택관리비(2.5%), 초등학생 학원비(2.4%) 등은 상승했지만 학교 급식비(-6.2%), 해외 단체여행비(-3.9%), 국제 항공료(-8.6%), 가정학습지(-2.5%) 등은 내렸다.
집세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 전월보다 0.2% 각각 상승했다.
기획재정부는 내수 회복에 따른 수요측 상승 압력 등으로 앞으로 물가상승률의상승폭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재부는 그러면서 "최근 국제유가 하락 효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가격·유통구조 개선, 경쟁 촉진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국제유가 하락이 공공요금에 적기에 반영되고 석유류 등 분야별·품목별 유통구조 개선 대책을 추진해나가는 한편, 설 연휴에 대비해 주요 생필품 가격안정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lkbin@yna.co.kr ksw08@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