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의 가계부채 문제가 다른 계층보다 더욱 심각해질 수 있어 금융 측면에서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임진 연구위원은 12일 낸 '저소득층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 보고서에서 "저소득층의 취약한 소득구조를 고려할 때 경기 회복 지연 시이들의 가계부채가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저소득층의 가계부채가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 생활비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부실화 우려가 높다고 분석했다.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1∼5분위 중 가장 고소득층인 5분위의 가계부채는 9천312만원인데 비해 가장 저소득층인 1분위의 부채는 868만원으로절대액수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5분위(106.9%)보다 1분위(120.7%)가 더 높았다.
5분위는 생활비 마련 목적 대출 비중이 3.7%에 불과했으나 저소득층은 이 비율이 21.2%에 달했다.
보고서는 "생활비 마련 목적 대출인 경우 소득여건이 개선되지 않는 한 부채상환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소득 1분위 가운데 50세 이상 자영업자의 소득개선 상황이 특히 미흡하다고 보고 경기 회복이 지연될 경우 이들을 위해 서민정책금융 강화, 채무구조 개선, 사금융피해 방지 등 금융측면에서의 지원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이어 "임금인상,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저소득층의 채무상환 능력을근본적으로 높이는 정책을 견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금융연구원의 임진 연구위원은 12일 낸 '저소득층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 보고서에서 "저소득층의 취약한 소득구조를 고려할 때 경기 회복 지연 시이들의 가계부채가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저소득층의 가계부채가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고 생활비 목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다른 소득계층에 비해 부실화 우려가 높다고 분석했다.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소득 1∼5분위 중 가장 고소득층인 5분위의 가계부채는 9천312만원인데 비해 가장 저소득층인 1분위의 부채는 868만원으로절대액수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5분위(106.9%)보다 1분위(120.7%)가 더 높았다.
5분위는 생활비 마련 목적 대출 비중이 3.7%에 불과했으나 저소득층은 이 비율이 21.2%에 달했다.
보고서는 "생활비 마련 목적 대출인 경우 소득여건이 개선되지 않는 한 부채상환에 어려움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소득 1분위 가운데 50세 이상 자영업자의 소득개선 상황이 특히 미흡하다고 보고 경기 회복이 지연될 경우 이들을 위해 서민정책금융 강화, 채무구조 개선, 사금융피해 방지 등 금융측면에서의 지원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보고서는 이어 "임금인상,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저소득층의 채무상환 능력을근본적으로 높이는 정책을 견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