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당국·은행권 전방위 접촉…채권은행 피해 커질 듯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 로비에 그치지 않고 금융권을 대상으로도 압력과 청탁을 행사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를 둘러싼 의혹은 2013년 경남기업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과정에 집중된다.
감사원은 최근 경남기업 금융지원 과정 전반에 대한 감사를 마무리해 성 전 회장의 압력이나 청탁을 받은 인사들의 면면이 드러날 가능성이 커졌다.
게다가 경남기업의 부실화로 인한 금융권 피해가 적지 않아 책임론이 불거질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성 전 회장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신분이어서 성 전 회장과의 접촉을 피할 수 없었다는 증언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을'의 입장에서 '슈퍼 갑'의 요구를 거절하기 어려웠을 거라는 얘기다.
16일 금융권 소식통들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2013년 10월 말 경남기업이 3차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직전에 금융감독 당국을 포함한 금융권 인사들을 광범위하게접촉하며 도움을 요청했다.
당시 금융감독원은 물론 채권은행의 최고경영자급을 대상으로 한 면담이나 전화통화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자금 지원을 포함한 경남기업에 대한 여러 협조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에 돈을 빌려준 은행에는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농협,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이 들어가 있다.
특히 금감원 기업구조조정 담당 국장을 의원회관으로 부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은 성 전 회장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라고 금융권의 한 소식통은 전했다.
정무위는 금융감독당국은 물론 금융권에도 '슈퍼 갑'의 지위라고 해도 과언이아니다. 작심하고 만나자는 데 피할 도리가 없었다는 게 당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전직 은행 CEO 한 명은 "보자고 연락이 왔고 (정무위원인데) 어떻게 만나지 않을 수 있겠느냐"며 "잘 봐달라는 요청이 있었지만 듣기만 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경남기업-채권단-감독당국 간 3각 관계에서 이런저런 의혹이 적지 않다.
금감원은 경남기업 유동성 위기 과정에서 시중은행들에 900억원 상당의 특혜대출을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3년 4월에 건설업황이 좋지 않았는데 경남기업은 부도가나면 1천600여개 하청업체가 3천300억원 상당의 피해를 입을 상황이어서 감독당국도정상적인 기업금융개선 과정의 일환으로 관여했다"면서 "당시 3개 은행의 협조 융자안에 따라 공사 채권을 담보로 700억원 상당의 대출이 나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은행 여신위원회의 판단에 따른 결정으로 외압은 없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도 워크아웃 과정에서의 의혹이 제기됐다.
감사원은 금감원이 지난해 1월 신한은행으로부터 경남기업 실사 결과를 중간 보고받는 자리에서 대주주인 성 전 회장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처리하라고 요구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실사를 맡은 A회계법인과 신한은행이 대주주 지분의 무상감자를 실시해야한다고 보고했으나 금감원이 이를 거부한 채 자금지원을 요구하는 성 전 의원 측 의견을 받아들이라고 압력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의혹의 핵심이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2월 경남기업은 채권단으로부터 무상감자 없는 1천억원 출자전환과 3천800억원의 신규자금 수혈을 포함해 6천300억원대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 측에서는 일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 관계자는 "실사 과정에서 무상감자 의견을 냈는지 모르지만 금감원과 사전논의한 일이 없다"면서 "금감원이 받아본 최종 실사 결과에는 감자 의견 없이 출자전환 의견만 담겨 있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건설경기 침체와 함께 경남기업의 경영 악화에 영향을 미친 베트남'랜드마크72'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도 의혹의 시선을 둔다.
랜드마크72는 72층짜리 타워 동과 48층짜리 아파트로 2개 동으로 구성된 10억5천만 달러 규모의 큰 사업이다 추진과정에서 세계 금융위기로 사업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흔들리는 위기에 빠졌지만 채권단의 지원이 이어져 부정이 개입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검찰 수사 과정에서 성 전 회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경남기업은 상장폐지됐다.
결국 경남기업에 돈을 빌려준 금융권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경남은행 상장폐지를 위한 정리매매 등의 과정에서 채권은행들이 경남은행 지분을 팔면서 생긴 손실은 800억 원가량이다.
지난해 3월 출자전환하면서 경남기업 지분을 취득할 때 가격보다 주가가 폭락했기 때문이다.
수출입은행이 정리매매 첫날인 지난 6일부터 이틀간 463만4천200주(지분율 10.93%)를 팔아 200억원의 손실을 떠안았다.
신한은행, 농협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었다.
채권단의 피해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기업의 은행권 익스포저(위험노출 채권액)는 1조원에 달한다.
수출입은행이 5천210억원으로 가장 많은데 이 중 대출채권이 2천172억원이고,나머지 3천여억원은 이행성 보증이다.
이어 신한은행(1천740억원), 산업은행(611억원), 농협(522억원), 수협중앙회(455억원), 국민은행(421억원), 우리은행(356억원). 광주은행(326억원), 기업은행(235억원), 대구은행 순으로 많다.
서울보증도 경남기업이 하는 공사에 2천970억원 정도의 계약이행보증을 했다.
서울보증 관계자는 "지금 경남기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가 회생절차에 돌입했는데, 필요한 현장은 계속 공사를 하게 된다"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손해가 어느 정도일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princ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정치권 로비에 그치지 않고 금융권을 대상으로도 압력과 청탁을 행사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그를 둘러싼 의혹은 2013년 경남기업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과정에 집중된다.
감사원은 최근 경남기업 금융지원 과정 전반에 대한 감사를 마무리해 성 전 회장의 압력이나 청탁을 받은 인사들의 면면이 드러날 가능성이 커졌다.
게다가 경남기업의 부실화로 인한 금융권 피해가 적지 않아 책임론이 불거질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성 전 회장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신분이어서 성 전 회장과의 접촉을 피할 수 없었다는 증언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을'의 입장에서 '슈퍼 갑'의 요구를 거절하기 어려웠을 거라는 얘기다.
16일 금융권 소식통들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2013년 10월 말 경남기업이 3차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직전에 금융감독 당국을 포함한 금융권 인사들을 광범위하게접촉하며 도움을 요청했다.
당시 금융감독원은 물론 채권은행의 최고경영자급을 대상으로 한 면담이나 전화통화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자금 지원을 포함한 경남기업에 대한 여러 협조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남기업에 돈을 빌려준 은행에는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농협,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이 들어가 있다.
특히 금감원 기업구조조정 담당 국장을 의원회관으로 부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은 성 전 회장이 당시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이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라고 금융권의 한 소식통은 전했다.
정무위는 금융감독당국은 물론 금융권에도 '슈퍼 갑'의 지위라고 해도 과언이아니다. 작심하고 만나자는 데 피할 도리가 없었다는 게 당시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전직 은행 CEO 한 명은 "보자고 연락이 왔고 (정무위원인데) 어떻게 만나지 않을 수 있겠느냐"며 "잘 봐달라는 요청이 있었지만 듣기만 했다"고 말했다.
이밖에 경남기업-채권단-감독당국 간 3각 관계에서 이런저런 의혹이 적지 않다.
금감원은 경남기업 유동성 위기 과정에서 시중은행들에 900억원 상당의 특혜대출을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3년 4월에 건설업황이 좋지 않았는데 경남기업은 부도가나면 1천600여개 하청업체가 3천300억원 상당의 피해를 입을 상황이어서 감독당국도정상적인 기업금융개선 과정의 일환으로 관여했다"면서 "당시 3개 은행의 협조 융자안에 따라 공사 채권을 담보로 700억원 상당의 대출이 나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은행 여신위원회의 판단에 따른 결정으로 외압은 없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도 워크아웃 과정에서의 의혹이 제기됐다.
감사원은 금감원이 지난해 1월 신한은행으로부터 경남기업 실사 결과를 중간 보고받는 자리에서 대주주인 성 전 회장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처리하라고 요구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실사를 맡은 A회계법인과 신한은행이 대주주 지분의 무상감자를 실시해야한다고 보고했으나 금감원이 이를 거부한 채 자금지원을 요구하는 성 전 의원 측 의견을 받아들이라고 압력을 행사했다는 주장이 의혹의 핵심이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2월 경남기업은 채권단으로부터 무상감자 없는 1천억원 출자전환과 3천800억원의 신규자금 수혈을 포함해 6천300억원대 자금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 측에서는 일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 관계자는 "실사 과정에서 무상감자 의견을 냈는지 모르지만 금감원과 사전논의한 일이 없다"면서 "금감원이 받아본 최종 실사 결과에는 감자 의견 없이 출자전환 의견만 담겨 있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건설경기 침체와 함께 경남기업의 경영 악화에 영향을 미친 베트남'랜드마크72'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도 의혹의 시선을 둔다.
랜드마크72는 72층짜리 타워 동과 48층짜리 아파트로 2개 동으로 구성된 10억5천만 달러 규모의 큰 사업이다 추진과정에서 세계 금융위기로 사업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이 흔들리는 위기에 빠졌지만 채권단의 지원이 이어져 부정이 개입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검찰 수사 과정에서 성 전 회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고 경남기업은 상장폐지됐다.
결국 경남기업에 돈을 빌려준 금융권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경남은행 상장폐지를 위한 정리매매 등의 과정에서 채권은행들이 경남은행 지분을 팔면서 생긴 손실은 800억 원가량이다.
지난해 3월 출자전환하면서 경남기업 지분을 취득할 때 가격보다 주가가 폭락했기 때문이다.
수출입은행이 정리매매 첫날인 지난 6일부터 이틀간 463만4천200주(지분율 10.93%)를 팔아 200억원의 손실을 떠안았다.
신한은행, 농협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었다.
채권단의 피해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기업의 은행권 익스포저(위험노출 채권액)는 1조원에 달한다.
수출입은행이 5천210억원으로 가장 많은데 이 중 대출채권이 2천172억원이고,나머지 3천여억원은 이행성 보증이다.
이어 신한은행(1천740억원), 산업은행(611억원), 농협(522억원), 수협중앙회(455억원), 국민은행(421억원), 우리은행(356억원). 광주은행(326억원), 기업은행(235억원), 대구은행 순으로 많다.
서울보증도 경남기업이 하는 공사에 2천970억원 정도의 계약이행보증을 했다.
서울보증 관계자는 "지금 경남기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가 회생절차에 돌입했는데, 필요한 현장은 계속 공사를 하게 된다"며 "따라서 최종적으로 손해가 어느 정도일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princ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