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외환통합 하나금융 '선방'…농협금융 4천억대 예상
올 상반기 실적 평가에서 신한금융이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순이익 1조원대를 달성하며 '리딩뱅크' 자리에 올랐다.
KB금융[105560]은 1조원대에 육박하며 신한금융을 바짝 추격했다. 하나·외환은행 통합에 매진한 하나금융도 7천억원대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주로 예대 마진 차이를 의미하는 순이자마진(NIM)이 저금리 기조 여파로 작년동기보다 0.13~0.18%포인트 줄어들었지만 비이자이익 증가로 금융지주사들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작년보다 늘었다.
26일 각 금융지주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올해 상반기에 작년 동기보다 13%(1조1천360억원) 늘어난 1조2천841억원이 순이익을 올렸다.
2010년부터 6년 연속으로 상반기에 1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아직 실적발표를 하지 않은 농협금융의 순이익은 4천억원대인 것으로 예상돼 올 상반기에 순이익 1조원을 넘긴 지주는 신한금융이 유일할 것으로 보인다.
주력계열사인 신한은행은 7천903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지난해(8천419억원)보다6.1% 줄었지만, 카드·금융투자 등 계열사 순이익이 늘었다.
이에 따라 비은행의 순이익 기여도는 작년 35%에서 올해 43%로 증가했다.
KB금융은 작년 동기(7천515억원)보다 25.7% 늘어난 9천446억원의 순이익을 올상반기에 달성했다.
1위 신한금융과는 3천395억원의 격차를 보여 지난해(3천845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투입된 자본에 대해 거둔 수익을 의미하는 자기자본이익률(ROE)은 6.83%로, 신한금융(9.0%)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일회성 이익과 비용을 고려하면 셈법이 조금 달라진다.
KB금융은 올 상반기에 법인세 환급으로 1천803억원의 이익이, 희망퇴직으로 3천454억원의 비용이 발생했다.
이를 고려할 때 두 은행의 실질적 격차는 올 상반기 1천744억원 정도가 된다.
하나·외환은행의 통합작업으로 어수선했던 하나금융은 올 상반기 중 7천48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작년보다 22.7%(1천384억원) 늘어난 것이다.
수수료 이익은 신탁보수, 증권수탁 수수료·인수자문 수수료 등의 고른 증가에힘입어 작년 동기보다 12.6% 늘었다.
매매평가이익도 작년 동기보다 104% 증가했다.
금융지주사들의 올 상반기 실적은 전체적으로 13~25% 증가했으나 주력계열사인은행들의 순이익 실적은 엇갈렸다.
신한은행은 작년보다 6.1% 줄었고 하나은행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0.7% 증가)을유지했다.
국민은행은 37.2% 증가했고, 농협은행은 무려 150%(1천799억원)나 급증했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 상반기 실적 평가에서 신한금융이 4대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순이익 1조원대를 달성하며 '리딩뱅크' 자리에 올랐다.
KB금융[105560]은 1조원대에 육박하며 신한금융을 바짝 추격했다. 하나·외환은행 통합에 매진한 하나금융도 7천억원대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선방했다.
주로 예대 마진 차이를 의미하는 순이자마진(NIM)이 저금리 기조 여파로 작년동기보다 0.13~0.18%포인트 줄어들었지만 비이자이익 증가로 금융지주사들의 올 상반기 순이익은 작년보다 늘었다.
26일 각 금융지주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올해 상반기에 작년 동기보다 13%(1조1천360억원) 늘어난 1조2천841억원이 순이익을 올렸다.
2010년부터 6년 연속으로 상반기에 1조원 이상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아직 실적발표를 하지 않은 농협금융의 순이익은 4천억원대인 것으로 예상돼 올 상반기에 순이익 1조원을 넘긴 지주는 신한금융이 유일할 것으로 보인다.
주력계열사인 신한은행은 7천903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지난해(8천419억원)보다6.1% 줄었지만, 카드·금융투자 등 계열사 순이익이 늘었다.
이에 따라 비은행의 순이익 기여도는 작년 35%에서 올해 43%로 증가했다.
KB금융은 작년 동기(7천515억원)보다 25.7% 늘어난 9천446억원의 순이익을 올상반기에 달성했다.
1위 신한금융과는 3천395억원의 격차를 보여 지난해(3천845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투입된 자본에 대해 거둔 수익을 의미하는 자기자본이익률(ROE)은 6.83%로, 신한금융(9.0%)에 미치지 못했다.
다만 일회성 이익과 비용을 고려하면 셈법이 조금 달라진다.
KB금융은 올 상반기에 법인세 환급으로 1천803억원의 이익이, 희망퇴직으로 3천454억원의 비용이 발생했다.
이를 고려할 때 두 은행의 실질적 격차는 올 상반기 1천744억원 정도가 된다.
하나·외환은행의 통합작업으로 어수선했던 하나금융은 올 상반기 중 7천48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작년보다 22.7%(1천384억원) 늘어난 것이다.
수수료 이익은 신탁보수, 증권수탁 수수료·인수자문 수수료 등의 고른 증가에힘입어 작년 동기보다 12.6% 늘었다.
매매평가이익도 작년 동기보다 104% 증가했다.
금융지주사들의 올 상반기 실적은 전체적으로 13~25% 증가했으나 주력계열사인은행들의 순이익 실적은 엇갈렸다.
신한은행은 작년보다 6.1% 줄었고 하나은행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0.7% 증가)을유지했다.
국민은행은 37.2% 증가했고, 농협은행은 무려 150%(1천799억원)나 급증했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