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시장도 양극화…안심대출 혜택, 고신용자에 집중
올해 들어 금리 인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이 급증했지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은행권 대출은고신용·고소득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소득층은 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고 저축은행 등 금리가 높은 2금융권으로 밀려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6일 새정치민주연합 최재성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9개 은행의 고소득층(연소득 6천만원 초과)에 대한 가계대출은 작년 말 101조9천억원에서 6월 말 106조원으로 4조1천억원(4.0%) 늘었다.
연소득 3천만∼6천만원인 중소득층에 대한 가계대출도 114조4천억원에서 116조9천억원으로 2조5천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연소득 3천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은 작년 말 114조2천억원에서 6월 말 114조1천억원으로 1천억원 감소했다.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고소득층은 작년 말 30.8%에서 6월 말 31.4%로상승했다. 중소득층도 34.6%에서 34.7%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작년 말 34.6%를 차지했던 저소득층의 가계대출 비중은 6월 말 33.9%로떨어졌다.
신용등급별로도 고신용등급(1∼3등급)에 대한 대출 잔액은 작년 말 259조5천억원에서 올 6월 말 265조7천억원으로 6조2천억원 증가한 반면 저신용등급(7∼10등급)은 58조7천억원에서 57조1천억원으로 1조6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그동안 급증한 가계대출이 신용도와 소득이 높은 고소득층에 집중된 반면저소득층은 은행 대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은행에서 대출받지 못한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 금융기관의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상호저축은행을 비롯해 상호금융, 신협,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고소득층에 대한 가계대출 잔액은 18조1천억원에서 18조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중소득층 대출 잔액도 33조9천억원에서 32조5천억원으로 6개월 새 1조4천억원줄었다.
반면 저소득층 대출 잔액은 23조7천억원에서 24조7천억원으로 1조원 증가했다.
저소득층이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1.3%에서 32.8%로 높아졌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들의 대출금리는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수준이어서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저소득층의 대출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7월 은행의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43%였다.
반면 저축은행은 연 11.75%에 달했고 신협은 연 4.73%, 새마을금고 연 4.13%,상호금융 연 4.11%로 집계되는 등 은행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정부가 고금리 대출자들이 한층 저렴한 금리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내놓은안심전환대출의 영향도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들에게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안심대출 채권을 주택금융공사로 양도한 영향으로 4월 말부터 6월 말까지 고신용 등급의 은행 가계대출은 10조원 감소했다.
그러나 중·저신용등급의 가계대출은 1조2천억원 증가했고 비은행 금융기관의가계대출도 5조2천억원 늘었다.
최재성 의원은 "가계부채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으로도 악화되고 있어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면서 "가계부채의 총량관리라는 적극적인 정책수단과 더불어 저신용 중저소득층을 겨냥한 맞춤형 가계부채 해소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올해 들어 금리 인하 영향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이 급증했지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은행권 대출은고신용·고소득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저소득층은 은행에서 돈을 빌리지 못하고 저축은행 등 금리가 높은 2금융권으로 밀려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6일 새정치민주연합 최재성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9개 은행의 고소득층(연소득 6천만원 초과)에 대한 가계대출은 작년 말 101조9천억원에서 6월 말 106조원으로 4조1천억원(4.0%) 늘었다.
연소득 3천만∼6천만원인 중소득층에 대한 가계대출도 114조4천억원에서 116조9천억원으로 2조5천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연소득 3천만원 이하인 저소득층은 작년 말 114조2천억원에서 6월 말 114조1천억원으로 1천억원 감소했다.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고소득층은 작년 말 30.8%에서 6월 말 31.4%로상승했다. 중소득층도 34.6%에서 34.7%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작년 말 34.6%를 차지했던 저소득층의 가계대출 비중은 6월 말 33.9%로떨어졌다.
신용등급별로도 고신용등급(1∼3등급)에 대한 대출 잔액은 작년 말 259조5천억원에서 올 6월 말 265조7천억원으로 6조2천억원 증가한 반면 저신용등급(7∼10등급)은 58조7천억원에서 57조1천억원으로 1조6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그동안 급증한 가계대출이 신용도와 소득이 높은 고소득층에 집중된 반면저소득층은 은행 대출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은행에서 대출받지 못한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 금융기관의대출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상호저축은행을 비롯해 상호금융, 신협, 새마을금고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고소득층에 대한 가계대출 잔액은 18조1천억원에서 18조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중소득층 대출 잔액도 33조9천억원에서 32조5천억원으로 6개월 새 1조4천억원줄었다.
반면 저소득층 대출 잔액은 23조7천억원에서 24조7천억원으로 1조원 증가했다.
저소득층이 전체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1.3%에서 32.8%로 높아졌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들의 대출금리는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수준이어서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저소득층의 대출이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7월 은행의 대출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43%였다.
반면 저축은행은 연 11.75%에 달했고 신협은 연 4.73%, 새마을금고 연 4.13%,상호금융 연 4.11%로 집계되는 등 은행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정부가 고금리 대출자들이 한층 저렴한 금리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내놓은안심전환대출의 영향도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들에게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안심대출 채권을 주택금융공사로 양도한 영향으로 4월 말부터 6월 말까지 고신용 등급의 은행 가계대출은 10조원 감소했다.
그러나 중·저신용등급의 가계대출은 1조2천억원 증가했고 비은행 금융기관의가계대출도 5조2천억원 늘었다.
최재성 의원은 "가계부채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으로도 악화되고 있어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면서 "가계부채의 총량관리라는 적극적인 정책수단과 더불어 저신용 중저소득층을 겨냥한 맞춤형 가계부채 해소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