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된 매수자 찾는 게 가장 중요…중동펀드는 과점주주"
윤창현 신임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우리은행[000030] 민영화 과정에서 원금 회수에 과도하게 연연하지 않겠다고 12일 밝혔다.
윤 신임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주식이라는 것이 원금 회수에너무 얽매이다 보면 못 팔고 결국 수천억~수조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면서 "필요하다면 손절매에 나설 수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는 당연히 중요한 문제이지만 더 큰 위기를막기 위해 본전에만 집착해선 안 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의 이런 발언은 정부가 제시한 우리은행 매각 3원칙 중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원금 회수의 의미로 보는 일부 시각을 부정한 것이다.
정부가 앞으로 우리은행 매수 원가인 주당 1만3천500원보다 낮은 가격에 팔 수있다는 뜻이다.
우리은행 매각 3원칙 중 첫 번째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는 두 번째인 '신속매각'과 상충되면서 우리은행 매각을 표류시킨 주요 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가가 매수 원가에 미치지 못하니 매각을 할 수 없고 이 과정에서 우리은행 매각이 계속 지연됐기 때문이다.
윤 위원장은 "공자위원장은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만큼 정부의 의사 결정을 존중하면서 전·현직 공자위원들의 의견도 청취한 후 신축성 있게의사 결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14일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의 의미를 묻는 정우택 정무위원장의 질의에 "공적자금 원금을 전액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배임은 아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을 신속히 매각하는 것보다 제대로 된 매수자를 찾는 것이중요하다고 정의했다.
윤 위원장은 현 상황에서 '신속 매각'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우리가 '신속 매각' 타령을 한 지가 도대체 언제부터냐. 빨리 파는 게 중요했다면 벌써 팔아버릴 수있었다"면서 "어떤 매수자를 찾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더 나아가 한국 금융산업에 이바지할 매수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국민 전체가 지켜보는 만큼 제대로 된 매수자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지분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인 UAE(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국부펀드에 대해서는 과점주주 성격으로 규정했다.
윤 위원장은 "평생 '배우자'라기보다 매각 작업을 돕는 '서포터' 수준이 아니겠냐"면서 "이들이 4~10%씩 지분을 사주면 최종적인 주인이 30% 정도만 사도 경영권을잡을 수 있게 된다. 사야 할 지분의 중압감을 줄여주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3개 국부펀드가 각각 4~10%씩 20% 정도를 매수해주면 나머지 약 30%를 경영권 매수자에게 넘기는 방식을 의미한다.
윤 위원장은 공자위원장 취임 소감을 묻자 "공자위가 다루는 자금 규모가 엄청난 데다 우리은행 매각 등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과제도 있지 않느냐"면서 "중압감이 엄청나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2017년 10월까지 2년간 금융위원장과 공동 공자위원장으로서 우리은행 매각 등 공적자금 관리를 맡게 된다.
올해 3월까지 금융연구원장으로 일한 윤 위원장은 금융개혁회의 위원 등을 맡고있어 현 정부의 금융정책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pee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윤창현 신임 공적자금관리위원장이 우리은행[000030] 민영화 과정에서 원금 회수에 과도하게 연연하지 않겠다고 12일 밝혔다.
윤 신임 위원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주식이라는 것이 원금 회수에너무 얽매이다 보면 못 팔고 결국 수천억~수조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면서 "필요하다면 손절매에 나설 수도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는 당연히 중요한 문제이지만 더 큰 위기를막기 위해 본전에만 집착해선 안 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의 이런 발언은 정부가 제시한 우리은행 매각 3원칙 중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원금 회수의 의미로 보는 일부 시각을 부정한 것이다.
정부가 앞으로 우리은행 매수 원가인 주당 1만3천500원보다 낮은 가격에 팔 수있다는 뜻이다.
우리은행 매각 3원칙 중 첫 번째인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는 두 번째인 '신속매각'과 상충되면서 우리은행 매각을 표류시킨 주요 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가가 매수 원가에 미치지 못하니 매각을 할 수 없고 이 과정에서 우리은행 매각이 계속 지연됐기 때문이다.
윤 위원장은 "공자위원장은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공동으로 수행하는 만큼 정부의 의사 결정을 존중하면서 전·현직 공자위원들의 의견도 청취한 후 신축성 있게의사 결정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달 14일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의 의미를 묻는 정우택 정무위원장의 질의에 "공적자금 원금을 전액 회수하지 못하더라도 배임은 아니다"고 답변한 바 있다.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을 신속히 매각하는 것보다 제대로 된 매수자를 찾는 것이중요하다고 정의했다.
윤 위원장은 현 상황에서 '신속 매각'의 의미를 묻는 질문에 "우리가 '신속 매각' 타령을 한 지가 도대체 언제부터냐. 빨리 파는 게 중요했다면 벌써 팔아버릴 수있었다"면서 "어떤 매수자를 찾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더 나아가 한국 금융산업에 이바지할 매수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국민 전체가 지켜보는 만큼 제대로 된 매수자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지분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인 UAE(아랍에미리트)와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국부펀드에 대해서는 과점주주 성격으로 규정했다.
윤 위원장은 "평생 '배우자'라기보다 매각 작업을 돕는 '서포터' 수준이 아니겠냐"면서 "이들이 4~10%씩 지분을 사주면 최종적인 주인이 30% 정도만 사도 경영권을잡을 수 있게 된다. 사야 할 지분의 중압감을 줄여주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3개 국부펀드가 각각 4~10%씩 20% 정도를 매수해주면 나머지 약 30%를 경영권 매수자에게 넘기는 방식을 의미한다.
윤 위원장은 공자위원장 취임 소감을 묻자 "공자위가 다루는 자금 규모가 엄청난 데다 우리은행 매각 등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과제도 있지 않느냐"면서 "중압감이 엄청나다"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2017년 10월까지 2년간 금융위원장과 공동 공자위원장으로서 우리은행 매각 등 공적자금 관리를 맡게 된다.
올해 3월까지 금융연구원장으로 일한 윤 위원장은 금융개혁회의 위원 등을 맡고있어 현 정부의 금융정책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pee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