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기자회견의 세부 내용을 추가했습니다.>>"유가 낙폭 예상 벗어나 물가 하방압력…수출부진 지속될 것"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0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최대 위험요인은 취약신흥국의 위기 확산"이라면서 가계부채가 점점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대책을 시급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최근 국제유가의 하락폭이 예상했던 수준보다 커졌다면서 내년도 물가 상승률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취약 신흥국의 금융경제 불안이 확대돼 위기가 발생하고 그것이 다른국가로 확산되는 상황이 가장 우려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오는 15∼16일(현지시간) 개최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재 연 0∼0.25%인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재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이 곧바로 한은의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미국은 금리 인상은 시장에 상당 부분 반영돼 있고 속도도 완만할 것으로 보여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가 대응하기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 대비한 이른바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마련해놓고 있다며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시중 유동성을 여유롭게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유가가 예상을 넘는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분명히 내년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유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회복세의 둔화 등을 감안해 다음 달 경제 전망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한국은행은 유가를 배럴당 50달러대로 가정하고 내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1.7%로 하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국내 소비가 내년에 급격히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임금이꾸준히 상승했고 물가하락 등으로 실질구매력도 높아진 점을 고려하면 소비절벽까지우려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DTI(총부채상환비율)와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규제를 완화한 뒤 가계 부채가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며 "가계부채 누증의 억제 대책은 조속히 실시될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총재는 중국 위안화와 관련해선 "위안화 약세가 오랫동안 지속할 가능성은크지 않다"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고려할 때 위안화 약세의 부정적 효과는 크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이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며 "이 흐름은단기간에 반전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수출 부진은 어느 정도 이어질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금융통화위원회 횟수를 연 12회에서 8회로 축소하는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결정되면 내년 이후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해선 정부와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면서 다음주 구체적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0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최대 위험요인은 취약신흥국의 위기 확산"이라면서 가계부채가 점점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는 대책을 시급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최근 국제유가의 하락폭이 예상했던 수준보다 커졌다면서 내년도 물가 상승률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한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취약 신흥국의 금융경제 불안이 확대돼 위기가 발생하고 그것이 다른국가로 확산되는 상황이 가장 우려된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오는 15∼16일(현지시간) 개최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재 연 0∼0.25%인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총재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이 곧바로 한은의 금리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미국은 금리 인상은 시장에 상당 부분 반영돼 있고 속도도 완만할 것으로 보여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가 대응하기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 대비한 이른바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마련해놓고 있다며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시중 유동성을 여유롭게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유가가 예상을 넘는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분명히 내년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유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회복세의 둔화 등을 감안해 다음 달 경제 전망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지난 10월 한국은행은 유가를 배럴당 50달러대로 가정하고 내년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1.7%로 하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국내 소비가 내년에 급격히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임금이꾸준히 상승했고 물가하락 등으로 실질구매력도 높아진 점을 고려하면 소비절벽까지우려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DTI(총부채상환비율)와 LTV(주택담보대출비율) 규제를 완화한 뒤 가계 부채가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며 "가계부채 누증의 억제 대책은 조속히 실시될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총재는 중국 위안화와 관련해선 "위안화 약세가 오랫동안 지속할 가능성은크지 않다"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을 고려할 때 위안화 약세의 부정적 효과는 크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유가 하락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이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며 "이 흐름은단기간에 반전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 수출 부진은 어느 정도 이어질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금융통화위원회 횟수를 연 12회에서 8회로 축소하는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결정되면 내년 이후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물가안정목표제에 대해선 정부와 협의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면서 다음주 구체적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