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5%p 오르면 위험기업 수 금융위기 수준으로 증가한은 '유동성 위험기업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위험 부채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 수준을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장금리가 1.5%포인트 오르면 유동성이 부족해지는 '위험기업'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기업 중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을 겪을 수 있는 위험기업 비중은 올 상반기 15.9%로 2009년 21.2%보다 하락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이 가진 위험부채가 전체 기업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 상반기 21.2%로 2009년의 16.9%보다 상승했다.
현재의 위험부채 비중이 금융위기 직후보다 4.3%포인트나 높은 수준이란 뜻이다.
이는 부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대기업을 중심으로 유동성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유동성 위험기업을 이자보상비율과 유동성 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으로규정했다.
이는 창출한 수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고 단기 채무가 단기 유동자산보다많아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는 기업이란 얘기다.
업종별로는 위험기업 수 기준으로 조선(62.5%), 건설(28.7%), 철강(24.2%) 업종이 높았고 위험부채 금액 기준으로는 조선(93.7%), 운수(53.9%), 기계장비(38.5%)업종이 높았다.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국내 경기둔화와 금리 인상 등 대외 충격이 미치는 영향을 보면 1년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포인트 떨어지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18.3%로 현재보다 2.3%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위험부채 비중은 23.0%로 현재보다 1.8%포인트 늘었다.
GDP 성장률이 1.5%포인트 둔화하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19.4%로 3.4%포인트 올라갔다. 위험부채 비중은 3.8%포인트 오른 25.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장금리(회사채 3년물 기준)가 향후 1년간 1%포인트 오르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18.8%로 2.8%포인트 오르고 위험부채는 23.3%로 늘었다.
금리 상승폭이 1.5%포인트로 커지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21.1%, 위험부채 비중은 28.9%로 각각 상승했다.
성장률 1.5%포인트 둔화와 금리 1.5%포인트 상승 충격이 함께 발생하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24.1%로 높아지고 위험부채 비중은 32.5%까지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기업 수 기준으로 운수,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 순으로, 부채금액기준으로는 기계장비, 운수, 석유화학, 건설 순으로 복합 충격에 취약했다.
조선은 이미 절반 이상의 업체가 위험기업으로 분류돼 충격에 의해 새로 위험기업에 편입될 기업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은은 앞으로 급격한 경기둔화와 금리상승 등 충격이 발생하면 기업의 일시적유동성 부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실기업에대한 상시적 구조조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위험 부채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 수준을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장금리가 1.5%포인트 오르면 유동성이 부족해지는 '위험기업'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기업 중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을 겪을 수 있는 위험기업 비중은 올 상반기 15.9%로 2009년 21.2%보다 하락했다.
하지만 이들 기업이 가진 위험부채가 전체 기업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올 상반기 21.2%로 2009년의 16.9%보다 상승했다.
현재의 위험부채 비중이 금융위기 직후보다 4.3%포인트나 높은 수준이란 뜻이다.
이는 부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대기업을 중심으로 유동성 위험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은은 유동성 위험기업을 이자보상비율과 유동성 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으로규정했다.
이는 창출한 수익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고 단기 채무가 단기 유동자산보다많아 일시적인 유동성 부족 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는 기업이란 얘기다.
업종별로는 위험기업 수 기준으로 조선(62.5%), 건설(28.7%), 철강(24.2%) 업종이 높았고 위험부채 금액 기준으로는 조선(93.7%), 운수(53.9%), 기계장비(38.5%)업종이 높았다.
스트레스 테스트를 통해 국내 경기둔화와 금리 인상 등 대외 충격이 미치는 영향을 보면 1년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포인트 떨어지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18.3%로 현재보다 2.3%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위험부채 비중은 23.0%로 현재보다 1.8%포인트 늘었다.
GDP 성장률이 1.5%포인트 둔화하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19.4%로 3.4%포인트 올라갔다. 위험부채 비중은 3.8%포인트 오른 25.0%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장금리(회사채 3년물 기준)가 향후 1년간 1%포인트 오르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18.8%로 2.8%포인트 오르고 위험부채는 23.3%로 늘었다.
금리 상승폭이 1.5%포인트로 커지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21.1%, 위험부채 비중은 28.9%로 각각 상승했다.
성장률 1.5%포인트 둔화와 금리 1.5%포인트 상승 충격이 함께 발생하면 위험기업 수 비중은 24.1%로 높아지고 위험부채 비중은 32.5%까지 치솟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기업 수 기준으로 운수, 건설, 석유화학, 자동차 순으로, 부채금액기준으로는 기계장비, 운수, 석유화학, 건설 순으로 복합 충격에 취약했다.
조선은 이미 절반 이상의 업체가 위험기업으로 분류돼 충격에 의해 새로 위험기업에 편입될 기업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은은 앞으로 급격한 경기둔화와 금리상승 등 충격이 발생하면 기업의 일시적유동성 부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실기업에대한 상시적 구조조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hoonkim@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