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은 북한의 주요 산업을 업종별로 분석한 연구서인 '북한의 산업' 2015년 개정판을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개정판에 따르면 북한의 주요 산업별 생산 실적은 지난 5년간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대부분 한국의 10%에도 못 미치면서 남북의 격차가 여전히 컸다.
지난 5년간 북한에서 생산설비가 활발히 확충된 분야는 기계·건재 등 건설 관련 후방산업과 식료품 등 주민생활 관련 산업, IT·관광·유통 등 서비스업이었다.
반면 사회간접자본(SOC)·조선·제지·수산·임업·금융업 등은 정체하거나 퇴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의 산업별 기술은 대체로 한국의 1980년대 초반 수준으로 평가됐다.
산업은행 심사평가부문 이해용 부행장은 "북한의 경제·산업을 재건하고 남북한산업 격차를 축소하려면 양질의 노동력, 풍부한 지하자원, 지정학적 위치 등 북한의성장 잠재요소를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며 "거점개발, 남북협력, 국제사회 지원 등의 정상화 방안을 통해 이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sncwoo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개정판에 따르면 북한의 주요 산업별 생산 실적은 지난 5년간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대부분 한국의 10%에도 못 미치면서 남북의 격차가 여전히 컸다.
지난 5년간 북한에서 생산설비가 활발히 확충된 분야는 기계·건재 등 건설 관련 후방산업과 식료품 등 주민생활 관련 산업, IT·관광·유통 등 서비스업이었다.
반면 사회간접자본(SOC)·조선·제지·수산·임업·금융업 등은 정체하거나 퇴보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의 산업별 기술은 대체로 한국의 1980년대 초반 수준으로 평가됐다.
산업은행 심사평가부문 이해용 부행장은 "북한의 경제·산업을 재건하고 남북한산업 격차를 축소하려면 양질의 노동력, 풍부한 지하자원, 지정학적 위치 등 북한의성장 잠재요소를 충분히 활용해야 한다"며 "거점개발, 남북협력, 국제사회 지원 등의 정상화 방안을 통해 이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sncwoo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