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인증 비밀번호와 관련해 이체 부분에 대한 내용을 수정하고, 악성코드 감염위험 원천차단했다는 국민은행 설명을 추가합니다.>>
KB국민은행은 국내 최초로 스마트 OTP 카드 IC칩에 공인인증서를 탑재하는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메모리, PC하드디스크, 이동식저장장치(USB) 등에 저장된공인인증서가 악성코드에 감염될 위험이 원천 차단됐다고 국민은행은 전했다.
스마트OTP카드 IC칩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는 보안 1등급 저장매체인 보안토큰(HSM)과 같은 보안성이 제공된다.
공인인증서 유효기간도 1년에서 4년으로 늘려 편의성을 높였다.
공인인증서 암호 입력도 간편해졌다.
기존에는 10자리 이상의 숫자·영문·특수문자로 이뤄진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했으나 6자리로 이뤄진 핀 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스마트 OTP를 이용하는 국민은행 고객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아이폰 이용 고객은 앞으로 NFC 기능 제한이 해제돼야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있다.
이 서비스는 이달 18일부터 시행된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KB국민은행은 국내 최초로 스마트 OTP 카드 IC칩에 공인인증서를 탑재하는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1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메모리, PC하드디스크, 이동식저장장치(USB) 등에 저장된공인인증서가 악성코드에 감염될 위험이 원천 차단됐다고 국민은행은 전했다.
스마트OTP카드 IC칩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는 보안 1등급 저장매체인 보안토큰(HSM)과 같은 보안성이 제공된다.
공인인증서 유효기간도 1년에서 4년으로 늘려 편의성을 높였다.
공인인증서 암호 입력도 간편해졌다.
기존에는 10자리 이상의 숫자·영문·특수문자로 이뤄진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했으나 6자리로 이뤄진 핀 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스마트 OTP를 이용하는 국민은행 고객은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아이폰 이용 고객은 앞으로 NFC 기능 제한이 해제돼야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있다.
이 서비스는 이달 18일부터 시행된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