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구조조정 통해 105→79곳으로…7년만의 흑자도 달성중금리 대출 확대·채널 다변화…"혁신으로 신뢰 되찾아야"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이 불거지면서 터진 저축은행 연쇄 부실 사태가 5년을 맞았다.
그동안 저축은행업계는 고강도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신뢰회복에 힘썼지만 국민들의 싸늘한 시선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2014년 7년 만에 첫 흑자를 달성하는 등 경영상으로 차츰 안정을 되찾기 시작하면서 서민금융기관으로서 거듭나려는 변화의 몸부림이 한창이다.
◇ 서민금융 뒤흔든 저축은행 사태 저축은행 사태는 5년 전인 2011년 2월17일 김석동 당시 금융위원장이 부산저축은행 등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00년대 후반부터 저축은행의 주요 수익원이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관련 여신이 2008년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를 거치며 크게 부실해진 것이 원인이 됐다.
20일 한국금융연구원이 펴낸 '상호저축은행 백서'를 보면 저축은행 업계 부동산PF 대출 가운데 부실우려 대출 비중은 2008년 6월 12.4%에서 2011년 3월에는 47.8%로 네 배 가까이로 늘었다.
10%대를 유지하던 PF 여신 연체율 역시 2010년 12월에는 25%까지 훌쩍 뛰었다.
결국 금융위는 2011년 상반기 부산저축은행을 포함해 8개 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 조치를 취했다.
이후 대대적인 금융당국의 조사가 시작됐고, 잇따라 밝혀진 부실대출의 실태는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사태의 원흉으로 지목된 부산저축은행은 예금의 절반인 4조5천억 원가량을 각종부동산PF에 불법 대출했다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일부 저축은행들에선 대주주들의 비자금 조성 등 각종 비리가 터져 나왔다.
특히 영업정지를 피하려고 정·관계 인사들에게 로비를 했다는 의혹이 속속 제기되면서 일파만파의 파장을 일으켰다.
다수의 예금자들이 피해를 본 와중에 일부 고위층 고객들은 영업정지 전에 예금을 사전인출한 정황까지 드러나 국민적 공분이 일기도 했다.
서민들의 금융문턱을 낮추겠다는 취지로 출발한 저축은행이 일부 경영진의 부실운영과 불법행위 탓에 오히려 서민금융에 큰 상처를 안긴 것이다.
◇ 고강도 구조조정…7년 만에 흑자 달성 연쇄 부실사태 이후 저축은행 업계는 고강도 구조조정을 거쳤다.
2011년 금융당국은 85개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을 벌여 16개 은행에 대해 자산 건전성 악화를 이유로 영업을 정지시켰다.
2012년 상반기에도 솔로몬저축은행을 비롯한 4곳의 문을 닫도록 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2014년까지 예보 기금 27조1천억원을 투입해 부실운영 업체들을 하나씩 정리했다.
2010년 기준 105개였던 저축은행 수는 5년 새 79개까지 줄었다.
남은 저축은행들도 부동산 PF 채권 가운데 7조4천억원 규모를 캠코에 매각하는등 부실채권 정리에 힘을 쏟았다.
그러는 동안 2011년 말 기준 69조8천억원이던 저축은행업계 자산 규모는 지난해상반기에는 42.4% 감소한 40조2천억원까지 줄어들었다.
마침내 2014년 7월 예주·예나래 저축은행 매각을 끝으로 정부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작업은 일단락됐다.
이후로는 저축은행 업계의 경영이 차츰 안정세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2014년에는 79개 저축은행 업계가 순이익 5천8억원을 올려 2007년 이후 7년 만에 전체적으로 첫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 "서민금융 역할해야"…중금리 대출 상품 확대 등 과제 저축은행업계는 그간의 혁신 작업을 바탕으로 국민 신뢰를 되찾겠다는 각오를다지고 있다.
특히 작년 말 이순우 전 우리은행장이 저축은행중앙회장으로 선출되면서 업계전체에는 지금이 과거의 아픔을 씻어내고 분위기를 바꿀 적기라는 기대감이 번지고있다.
이 회장도 취임 일성으로 "저축은행에 대한 이미지 개선이 시급하다"며 "업체들이 패배의식을 버리고 고객들이 변화를 실감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권에서는 최근 주목받는 중금리 대출 시장 선점을 저축은행 업계의 당면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부실사태 이후로도 여전히 국민들은 저축은행들이 고금리 대출만 일삼는다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며 "중금리 대출 활성화로 서민금융기관의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부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중금리 대출에 나서고 있다.
JT친애저축은행은 작년 말부터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대 5천만원까지 연 12∼19.
9%의 금리로 빌려주는 중금리 대출을 시작했다.
SBI저축은행의 모바일 중금리 상품인 '사이다' 역시 작년 말 출시된 후 10거래일 만에 누적대출 48억원을 돌파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 상품 금리는 6.9~13.5%로, 최대 대출 한도는 3천만원이다.
다양한 채널을 만들어 고객과의 소통을 활성화하려는 시도도 눈에 띈다.
웰컴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등이 지난해 말부터 잇따라 모바일앱을 선보이며 고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여기에 HK저축은행·TS저축은행 등에서는 골드바 판매 대행업무를 하는 등 상품다양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실사태가 벌어진 지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국민들의시선은 싸늘한 것이 사실"이라며 "뼈를 깎는 혁신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노력을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hysu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이 불거지면서 터진 저축은행 연쇄 부실 사태가 5년을 맞았다.
그동안 저축은행업계는 고강도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신뢰회복에 힘썼지만 국민들의 싸늘한 시선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2014년 7년 만에 첫 흑자를 달성하는 등 경영상으로 차츰 안정을 되찾기 시작하면서 서민금융기관으로서 거듭나려는 변화의 몸부림이 한창이다.
◇ 서민금융 뒤흔든 저축은행 사태 저축은행 사태는 5년 전인 2011년 2월17일 김석동 당시 금융위원장이 부산저축은행 등을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하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2000년대 후반부터 저축은행의 주요 수익원이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관련 여신이 2008년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를 거치며 크게 부실해진 것이 원인이 됐다.
20일 한국금융연구원이 펴낸 '상호저축은행 백서'를 보면 저축은행 업계 부동산PF 대출 가운데 부실우려 대출 비중은 2008년 6월 12.4%에서 2011년 3월에는 47.8%로 네 배 가까이로 늘었다.
10%대를 유지하던 PF 여신 연체율 역시 2010년 12월에는 25%까지 훌쩍 뛰었다.
결국 금융위는 2011년 상반기 부산저축은행을 포함해 8개 저축은행에 대해 영업정지 조치를 취했다.
이후 대대적인 금융당국의 조사가 시작됐고, 잇따라 밝혀진 부실대출의 실태는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사태의 원흉으로 지목된 부산저축은행은 예금의 절반인 4조5천억 원가량을 각종부동산PF에 불법 대출했다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일부 저축은행들에선 대주주들의 비자금 조성 등 각종 비리가 터져 나왔다.
특히 영업정지를 피하려고 정·관계 인사들에게 로비를 했다는 의혹이 속속 제기되면서 일파만파의 파장을 일으켰다.
다수의 예금자들이 피해를 본 와중에 일부 고위층 고객들은 영업정지 전에 예금을 사전인출한 정황까지 드러나 국민적 공분이 일기도 했다.
서민들의 금융문턱을 낮추겠다는 취지로 출발한 저축은행이 일부 경영진의 부실운영과 불법행위 탓에 오히려 서민금융에 큰 상처를 안긴 것이다.
◇ 고강도 구조조정…7년 만에 흑자 달성 연쇄 부실사태 이후 저축은행 업계는 고강도 구조조정을 거쳤다.
2011년 금융당국은 85개 저축은행에 대한 경영진단을 벌여 16개 은행에 대해 자산 건전성 악화를 이유로 영업을 정지시켰다.
2012년 상반기에도 솔로몬저축은행을 비롯한 4곳의 문을 닫도록 했다.
이어 금융당국은 2014년까지 예보 기금 27조1천억원을 투입해 부실운영 업체들을 하나씩 정리했다.
2010년 기준 105개였던 저축은행 수는 5년 새 79개까지 줄었다.
남은 저축은행들도 부동산 PF 채권 가운데 7조4천억원 규모를 캠코에 매각하는등 부실채권 정리에 힘을 쏟았다.
그러는 동안 2011년 말 기준 69조8천억원이던 저축은행업계 자산 규모는 지난해상반기에는 42.4% 감소한 40조2천억원까지 줄어들었다.
마침내 2014년 7월 예주·예나래 저축은행 매각을 끝으로 정부의 저축은행 구조조정 작업은 일단락됐다.
이후로는 저축은행 업계의 경영이 차츰 안정세를 찾아가기 시작했다.
2014년에는 79개 저축은행 업계가 순이익 5천8억원을 올려 2007년 이후 7년 만에 전체적으로 첫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 "서민금융 역할해야"…중금리 대출 상품 확대 등 과제 저축은행업계는 그간의 혁신 작업을 바탕으로 국민 신뢰를 되찾겠다는 각오를다지고 있다.
특히 작년 말 이순우 전 우리은행장이 저축은행중앙회장으로 선출되면서 업계전체에는 지금이 과거의 아픔을 씻어내고 분위기를 바꿀 적기라는 기대감이 번지고있다.
이 회장도 취임 일성으로 "저축은행에 대한 이미지 개선이 시급하다"며 "업체들이 패배의식을 버리고 고객들이 변화를 실감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융권에서는 최근 주목받는 중금리 대출 시장 선점을 저축은행 업계의 당면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부실사태 이후로도 여전히 국민들은 저축은행들이 고금리 대출만 일삼는다는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며 "중금리 대출 활성화로 서민금융기관의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부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중금리 대출에 나서고 있다.
JT친애저축은행은 작년 말부터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대 5천만원까지 연 12∼19.
9%의 금리로 빌려주는 중금리 대출을 시작했다.
SBI저축은행의 모바일 중금리 상품인 '사이다' 역시 작년 말 출시된 후 10거래일 만에 누적대출 48억원을 돌파하는 등 좋은 반응을 얻었다.
이 상품 금리는 6.9~13.5%로, 최대 대출 한도는 3천만원이다.
다양한 채널을 만들어 고객과의 소통을 활성화하려는 시도도 눈에 띈다.
웰컴저축은행, 대신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등이 지난해 말부터 잇따라 모바일앱을 선보이며 고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여기에 HK저축은행·TS저축은행 등에서는 골드바 판매 대행업무를 하는 등 상품다양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실사태가 벌어진 지 5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국민들의시선은 싸늘한 것이 사실"이라며 "뼈를 깎는 혁신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노력을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hysu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