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태영 등 39개 그룹, 올해 은행 재무평가 받는다

입력 2016-04-12 12:00  

금감원, 주채무계열 선정…작년보다 2곳 줄어기준미달 기업은 내달까지 개선 약정

39개 대기업 그룹이 올해 채권은행의 재무안정성 평가를 받아야 하는 주채무계열로 지정됐다.

동부[012030], 현대산업개발, 풍산[103140], SPP, 하이트진로[000080]가 빠지고홈플러스, 금호석유화학, 태영이 추가되면서 작년 명단보다 2곳이 줄었다.

금융감독원은 작년 말 기준 금융회사 총 신용공여액이 1조3천581억원 이상인 39개 계열기업군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했다고 12일 발표했다.

현행 은행업감독규정은 전년 말 금융기관 신용공여 잔액이 그 이전해 말 금융기관 전체 신용공여 잔액 대비 0.075% 이상인 계열기업군을 주채무계열로 정해 금감원이 금융기관에 통보하도록 하고 있다.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 많은 순서로 정해지다 보니 삼성, 현대자동차[005380],SK, 현대중공업[009540], LG[003550], 포스코[005490] 등 웬만한 재벌 그룹은 거의다 명단에 들어 있다.

주채무계열 수는 선정기준 강화로 2013년 30곳에서 2014년 42곳으로 대폭 늘어난 뒤 2년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홈플러스, 금호석유화학, 태영이 주채무계열에 새로 포함됐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MBK파트너스가 경영권 인수 과정에서 홈플러스 자산을 담보로 금융권에서 대규모로 자금을 조달(차입매수·LBO)하면서 금융권 빚이 늘었다.

박찬구 회장이 지배하는 금호석유화학은 지난해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 계열 분리하면서 명단에 이름이 추가됐다.

방송사 SBS[034120]를 계열사로 둔 태영은 신용공여액이 주채무계열 선정 기준에 다소 못미쳤다가 여신액 증가로 이번에 명단에 새로 포함됐다.

홈플러스는 국민은행, 태영은 KEB하나은행, 금호석유화학은 산업은행이 각각 주채권은행을 담당하기로 했다.

한편 5개 계열은 올해 주채무계열 명단에서 빠졌다.

동부는 지난해 주력 계열사인 동부제철[016380]이 워크아웃 과정에서 계열분리되면서 명단에서 제외됐고, 현대산업개발, 풍산, SPP는 빌린 돈을 갚으면서 신용공여액이 줄면서 선정 대상에서 빠졌다.

작년 명단에서 신용공여액이 41위로 가장 적었던 하이트진로는 주채무계열 선정기준 금액이 854억원 상향 조정되면서 올해 명단에서 빠졌다.

한편 작년 말 현재 금융기관 총신용공여액은 1천939조1천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128조2천억원(7.1%) 증가했다. 보험권역 신용공여액이 13조4천억원(16.6%) 늘어 증가율이 컸다.

주채무계열의 총 신용공여액은 작년 말 기준 300조7천억원으로, 계열 수가 2곳줄면서 전년의 303조원 대비 2조3천억원(0.8%) 감소했다.

주채무계열 신용공여액이 금융기관 전체 신용공여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기간 16.7%에서 15.5%로 줄었다.

삼성·현대차·SK·현대중공업·LG 등 상위 5개 계열의 신용공여액 합계액은 124조3천억원으로 2014년 말(124조7천억원) 대비 4천억원(0.3%) 감소했다.

삼성(33조4천억원), 현대차(32조6천억원), SK(22조5천억원), 현대중공업(19조5천억원), LG(16조3천억원) 순이었다.

올해는 삼성이 1위로 올라서면서 현대자동차는 작년 1위에서 2위로 내려앉았다.

올해 재지정된 36개 계열 중 STX조선해양(21→16위), S-OIL[010950](25→20위),코오롱[002020](26→21위), 하림[136480](37→32위) 등 5개 계열의 순위가 5계단 상승했고, 롯데(10→7위), 한화[000880](11→8위), 대우조선해양[042660](12→9위),장금상선(33→30위)는 3계단 상승했다.

다른 계열보다 신용공여액 증가가 상대적으로 많았다는 의미다.

반면 동국제강[001230](17→23위), 아주산업(29→35위), 한라[014790](31→36위), GS[078930](7→11위), 한진[002320](8→12위), 금호아시아나(15→18위), 이랜드(34→37위)는 신용공여액 감소로 순위가 3계단 이상 하락했다.

39개 주채무계열의 소속 계열사 수는 지난달 말 현재 총 4천443개로, 전년 주채무계열 소속사 대비 73개 늘었다.

주채권은행은 39개 계열을 상대로 다음 달 말까지 재무구조 및 소속기업체 평가를 벌인다.

평가 결과 기준점수 미만인 계열은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하고, 기준점수 대비 110% 미만인 기업은 정보제공약정을 체결해 관리대상계열로 관리한다.

주채권은행은 반기마다 약정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분기마다 자구계획 이행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