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증가, 가계부채 총량 증가로 인한 금융부실 가능성 등을 추가합니다.>>소비 진작에도 기여할 듯…이자수입 의존 생활자는 '팍팍'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년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림에 따라 역대 최저점에 머무르는 은행권의 예금과대출금리가 또다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은행권 진입 문턱이 낮아져 대출에 목마른 서민들의 생활은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이자수입에 의존하는 생활 층은 한층 더 팍팍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1.25%까지 떨어짐에 따라 예금·대출 등에 적용되는시장금리도 내려가고 있다.
산금채 1년물은 전날 연 1.45%에서 이날 현재 1.38~1.39%로 0.06~0.07%포인트가량 하락해 거래되고 있다.
금융채 1년물과 2년물도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국고채 3년물도 전날보다0.03%포인트 떨어져 거래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차가 있겠지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며 "조만간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장금리와 연동된 대출금리가 내려갈 전망이어서 '급전'이 필요한 고객들은 좀 더 쉽게 은행 문턱을 두드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은행권 대출금리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로 이용되는 코픽스(COFIX)가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전국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KEB하나·우리·SC제일·씨티은행 등 대부분의 시중은행 4월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 평균금리는 연 2%대로 떨어진 상태다.
KB국민은행은 전월에 견줘 0.05%포인트 하락한 2.95%로, 6개월 만에 2%대에 재진입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3월 3.09%에서 한 달 만에 0.1%포인트가 떨어져 2.99%를 기록, 역시 반년 만에 2%대로 하락했다.
우리은행[000030], 씨티은행은 4월을 기준으로 2.8%대까지 떨어졌으며 SC제일은행과 기업은행[024110]의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각각 은행권 최저 수준인 2.78%다.
이런 시장금리의 하락 조짐을 고려하면 대출금리가 연 2.5% 정도까지 하락할 수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생계자금이나 주택구매를 위해 대출받은 서민들의 이자 부담은 상당폭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작년 6월 기준금리 인하 후 주택담보대출은 급증세를 보였다.
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 대형은행의 작년 7월 주택담보대출은 전월에 견줘 3조5천억원(안심전환대출 유동화금액 포함) 늘었다.
대출금리 인하가 본격화한 8월에는 전월에 견줘 6조4천억원이 늘어 2010년 후 8월 증가분으로는 최대를 기록했다.
이자상환 부담이 줄면 소비 진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백화점 매출액은 9월 들어 전년 같은 달보다 14.1% 증가했고 할인점 매출액도 10.0% 늘어났다. 9월 국산 승용차의 내수판매량도 1년 전보다 15.5% 증가했으며 소비 호조로 카드 국내승인액도 14.8% 늘어났다.
금리 인하는 이처럼 서민층과 내수진작에 도움이 되지만 만만찮은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
우선 퇴직자 등 이자수입에 주로 의존하는 사람들은 예금 금리 인하로 생활이한층 팍팍해질 수 있다.
각 은행의 대표적인 예금 상품 금리가 이미 1% 초중반에 불과한 상황에서 1%대초반으로 떨어지게 됐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의 대표적인 정기예금 1년물 금리는 1.3~1.6% 수준에 불과하다.
가계와 기업의 빚이 늘어나 장기적으로 국내 경제의 거시 건전성도 악화할 수있다.
당장 싼 이자에 기댄 금융소비자가 전셋값도 올려주고, 집도 사며 생활비도 쓰면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지만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 미국 금리인하 등 대외 충격 발생 시 취약가계를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금융기관의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낮은 금리를 이용해 은행 대출로 연명하는 한계기업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금리인하는 부실을 확대하는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정부는 앞으로 자금 유출과 가계부채에관한 지표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미시적 대책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년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림에 따라 역대 최저점에 머무르는 은행권의 예금과대출금리가 또다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은행권 진입 문턱이 낮아져 대출에 목마른 서민들의 생활은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이자수입에 의존하는 생활 층은 한층 더 팍팍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1.25%까지 떨어짐에 따라 예금·대출 등에 적용되는시장금리도 내려가고 있다.
산금채 1년물은 전날 연 1.45%에서 이날 현재 1.38~1.39%로 0.06~0.07%포인트가량 하락해 거래되고 있다.
금융채 1년물과 2년물도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국고채 3년물도 전날보다0.03%포인트 떨어져 거래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시차가 있겠지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며 "조만간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시장금리와 연동된 대출금리가 내려갈 전망이어서 '급전'이 필요한 고객들은 좀 더 쉽게 은행 문턱을 두드릴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은행권 대출금리는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로 이용되는 코픽스(COFIX)가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전국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KB국민·KEB하나·우리·SC제일·씨티은행 등 대부분의 시중은행 4월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 평균금리는 연 2%대로 떨어진 상태다.
KB국민은행은 전월에 견줘 0.05%포인트 하락한 2.95%로, 6개월 만에 2%대에 재진입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 3월 3.09%에서 한 달 만에 0.1%포인트가 떨어져 2.99%를 기록, 역시 반년 만에 2%대로 하락했다.
우리은행[000030], 씨티은행은 4월을 기준으로 2.8%대까지 떨어졌으며 SC제일은행과 기업은행[024110]의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각각 은행권 최저 수준인 2.78%다.
이런 시장금리의 하락 조짐을 고려하면 대출금리가 연 2.5% 정도까지 하락할 수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생계자금이나 주택구매를 위해 대출받은 서민들의 이자 부담은 상당폭 줄어들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작년 6월 기준금리 인하 후 주택담보대출은 급증세를 보였다.
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 대형은행의 작년 7월 주택담보대출은 전월에 견줘 3조5천억원(안심전환대출 유동화금액 포함) 늘었다.
대출금리 인하가 본격화한 8월에는 전월에 견줘 6조4천억원이 늘어 2010년 후 8월 증가분으로는 최대를 기록했다.
이자상환 부담이 줄면 소비 진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 백화점 매출액은 9월 들어 전년 같은 달보다 14.1% 증가했고 할인점 매출액도 10.0% 늘어났다. 9월 국산 승용차의 내수판매량도 1년 전보다 15.5% 증가했으며 소비 호조로 카드 국내승인액도 14.8% 늘어났다.
금리 인하는 이처럼 서민층과 내수진작에 도움이 되지만 만만찮은 부작용도 생길 수 있다.
우선 퇴직자 등 이자수입에 주로 의존하는 사람들은 예금 금리 인하로 생활이한층 팍팍해질 수 있다.
각 은행의 대표적인 예금 상품 금리가 이미 1% 초중반에 불과한 상황에서 1%대초반으로 떨어지게 됐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의 대표적인 정기예금 1년물 금리는 1.3~1.6% 수준에 불과하다.
가계와 기업의 빚이 늘어나 장기적으로 국내 경제의 거시 건전성도 악화할 수있다.
당장 싼 이자에 기댄 금융소비자가 전셋값도 올려주고, 집도 사며 생활비도 쓰면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지만 가계부채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 미국 금리인하 등 대외 충격 발생 시 취약가계를 중심으로 부실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금융기관의 건전성 악화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낮은 금리를 이용해 은행 대출로 연명하는 한계기업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어 금리인하는 부실을 확대하는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정부는 앞으로 자금 유출과 가계부채에관한 지표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미시적 대책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buff27@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