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3%에서 3.0%로 0.3%포인트 하향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전망과 비교하면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러시아와 브라질 등 자원 의존적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가 예상보다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선진국 중에서도 유로 지역은 저유가와 양적완화, 유로화 약세 등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신흥국 중 중국은 확장적 재정정책에 힘입어 정부의 성장목표인 6.5∼7% 달성이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 역시 인프라 투자 등 재정지출이 확대되면서 올해 7.6%의 높은 성장률을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앞으로 세계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소비 증가세 둔화, 저유가에 따른 에너지 투자 위축, 유럽 양적완화 장기화와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일본의 저성장, 신흥국의 통화위기 등을 꼽았다.
pdhis959@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전망과 비교하면 미국과 일본 등 주요 선진국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고, 러시아와 브라질 등 자원 의존적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가 예상보다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선진국 중에서도 유로 지역은 저유가와 양적완화, 유로화 약세 등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신흥국 중 중국은 확장적 재정정책에 힘입어 정부의 성장목표인 6.5∼7% 달성이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 역시 인프라 투자 등 재정지출이 확대되면서 올해 7.6%의 높은 성장률을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앞으로 세계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소비 증가세 둔화, 저유가에 따른 에너지 투자 위축, 유럽 양적완화 장기화와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일본의 저성장, 신흥국의 통화위기 등을 꼽았다.
pdhis959@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