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 지원 때 떨어졌던 연계성·사후관리 보완3분기 중 '신성장산업 지원 기준' 마련
정책금융기관과 연구기관들이 '미래 먹을거리'가 될 신성장산업에 효율적으로 자금을 공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각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신성장산업을 지원하다 보니 연계성이 떨어지고 사후관리도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산업은행, 기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9개 정책 금융기관과 과학기술연구원, 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 46개 연구기관은 27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모여 신성장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들은 올해 3분기까지 신성장산업 지원을 위한 공동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책금융기관별로 제각각 다른 기준을 자의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신성장산업·품목·기술 발굴과 추천에 협력하고, 지원 대상에 대한 정보 공유도 하기로 했다.
MOU 체결식에 참석한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그동안 산업계와 관련 기관들은 자신이 속한 산업의 관점에서만 신성장산업을 정의하고 지원 기준들을 만들어왔다"고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MOU 참여 기관들이 함께 산업-금융간 유기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정책금융은 신성장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업계는 기업과 산업의 금융 수요를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통 제조업 중심의 금융 관행과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융합산업, 서비스업 등 신성장산업에 걸맞은 금융 모델을 산업계에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이를 위해 심사평가 모형을 고도화하고 신산업에 걸맞은 새로운금융상품 개발, 업무 프로세스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정책금융기관과 연구기관들이 '미래 먹을거리'가 될 신성장산업에 효율적으로 자금을 공급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각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신성장산업을 지원하다 보니 연계성이 떨어지고 사후관리도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산업은행, 기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9개 정책 금융기관과 과학기술연구원, 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 46개 연구기관은 27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모여 신성장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들은 올해 3분기까지 신성장산업 지원을 위한 공동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책금융기관별로 제각각 다른 기준을 자의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신성장산업·품목·기술 발굴과 추천에 협력하고, 지원 대상에 대한 정보 공유도 하기로 했다.
MOU 체결식에 참석한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그동안 산업계와 관련 기관들은 자신이 속한 산업의 관점에서만 신성장산업을 정의하고 지원 기준들을 만들어왔다"고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 MOU 참여 기관들이 함께 산업-금융간 유기적 네트워크를 구축해정책금융은 신성장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업계는 기업과 산업의 금융 수요를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통 제조업 중심의 금융 관행과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융합산업, 서비스업 등 신성장산업에 걸맞은 금융 모델을 산업계에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이를 위해 심사평가 모형을 고도화하고 신산업에 걸맞은 새로운금융상품 개발, 업무 프로세스 개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