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제조업 활력·산업연관 효과 줄고 해외의존도 커져"
제조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제조업의 산업 공동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국내 산업 공동화, 어디까지 왔나?'라는 제목의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내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0년대 5.9%에서 최근(2010~2015년 연평균)에는 28.5%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부가가치 증가율은 1970년대 18.0%까지 올랐지만, 최근에는 5.2%까지 둔화했다.
제조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도 1970년대에는 3.5%포인트였지만 최근에는 1.4%포인트로 약 2.1%포인트 줄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연구실장은 "앞으로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제조업 부문의 성장기여도는 더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제조업의 활력을 가늠할 수 있는 총출하액과 생산액, 부가가치 증가세는 모두둔화하고 있고 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 축소세도 이어지고 있다.
국내 제조업의 생산액과 총출하액 증가율은 2012년 1%대 전후 수준으로 하락한뒤 2013년부터는 마이너스 수준에 머물러 있다.
부가가치 증가세도 2011년 이후 크게 둔화되면서 2012년 0.1%, 2013년 -0.3%, 2014년 1.1%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생산액 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2000년 38.4%에서 2014년 32.
5%로 축소됐고, 같은 기간 생산비 비중은 61.6%에서 67.5%로 상승했다.
이 때문에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6.7%에서 2014년 4.2%로 약 2.5%포인트 떨어졌고, 같은 기간 순이익률도 5.7%에서 3.3%로 하락했다.
반면 제조업의 해외 의존도는 빠르게 올라가면서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 우려가커지고 있다.
제조업의 해외 생산 비중은 2009년 13.9%에서 2014년 18.5%로 빠르게 상승했다.
이는 한국보다 먼저 산업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일본의 2011년 해외 생산비중(18.0%)을 웃도는 수준이다.
제조업의 산업 연관 효과도 약화하고 있다.
수요가 한 단위 늘었을 때 증가하는 생산 수준을 의미하는 생산유발계수는 제조업이 2005년 2.092에서 2013년 2.036으로 하락했다.
또 상품 한 개를 생산했을 때 국민경제에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수준을 뜻하는 부가가치 유발계수도 제조업이 2000년 0.627에서 2013년 0.534로 떨어졌다.
제조업에 10억원을 투자할 때 직·간접적으로 생겨나는 취업자 수를 보여주는취업유발계수는 2000년 20.3명에서 2013년 8.6명으로 급감했다.
제조업의 산업 활력은 떨어지고 해외 의존도는 높아지면서 산업 연관 효과도 약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장은 "국내 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며"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신성장 동력 육성 등 중장기 산업발전 비전을 확립하고 이를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aecor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제조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가 빠르게 하락하면서 제조업의 산업 공동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국내 산업 공동화, 어디까지 왔나?'라는 제목의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내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0년대 5.9%에서 최근(2010~2015년 연평균)에는 28.5%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부가가치 증가율은 1970년대 18.0%까지 올랐지만, 최근에는 5.2%까지 둔화했다.
제조업의 경제 성장 기여도도 1970년대에는 3.5%포인트였지만 최근에는 1.4%포인트로 약 2.1%포인트 줄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동북아연구실장은 "앞으로 산업 구조조정이 진행되면 제조업 부문의 성장기여도는 더 악화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제조업의 활력을 가늠할 수 있는 총출하액과 생산액, 부가가치 증가세는 모두둔화하고 있고 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부가가치 비중 축소세도 이어지고 있다.
국내 제조업의 생산액과 총출하액 증가율은 2012년 1%대 전후 수준으로 하락한뒤 2013년부터는 마이너스 수준에 머물러 있다.
부가가치 증가세도 2011년 이후 크게 둔화되면서 2012년 0.1%, 2013년 -0.3%, 2014년 1.1%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국내 제조업의 생산액 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2000년 38.4%에서 2014년 32.
5%로 축소됐고, 같은 기간 생산비 비중은 61.6%에서 67.5%로 상승했다.
이 때문에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2010년 6.7%에서 2014년 4.2%로 약 2.5%포인트 떨어졌고, 같은 기간 순이익률도 5.7%에서 3.3%로 하락했다.
반면 제조업의 해외 의존도는 빠르게 올라가면서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 우려가커지고 있다.
제조업의 해외 생산 비중은 2009년 13.9%에서 2014년 18.5%로 빠르게 상승했다.
이는 한국보다 먼저 산업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일본의 2011년 해외 생산비중(18.0%)을 웃도는 수준이다.
제조업의 산업 연관 효과도 약화하고 있다.
수요가 한 단위 늘었을 때 증가하는 생산 수준을 의미하는 생산유발계수는 제조업이 2005년 2.092에서 2013년 2.036으로 하락했다.
또 상품 한 개를 생산했을 때 국민경제에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수준을 뜻하는 부가가치 유발계수도 제조업이 2000년 0.627에서 2013년 0.534로 떨어졌다.
제조업에 10억원을 투자할 때 직·간접적으로 생겨나는 취업자 수를 보여주는취업유발계수는 2000년 20.3명에서 2013년 8.6명으로 급감했다.
제조업의 산업 활력은 떨어지고 해외 의존도는 높아지면서 산업 연관 효과도 약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실장은 "국내 산업 활력 제고를 위한 전방위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며"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신성장 동력 육성 등 중장기 산업발전 비전을 확립하고 이를달성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aecor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