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기적 전략 수립 시 기술혁명 고려해야"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이 세계 25위에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5일 발표한 Ɗ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이란 디지털, 생물학, 물리학 등의 경계가 없어지고 융합되는 기술혁명을 의미한다.
3D 프린팅과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공학 등의 기술이 융합돼 새로운 기술을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기술융합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과 유통 비용을 낮춰 소득증가와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면서 고기술·고임금과 저기술·저임금으로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 향후 노동시장 격차가 커지고 중산층 지위도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노동시장의 큰 변화를 가져올 4차 산업혁명이지만 한국의 준비 수준은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위스계 UBS 은행은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기술 수준,교육수준, 인프라 수준, 법적 보호 등 5개 요소로 4차 산업혁명에 가장 잘 적응할수 있는 국가들을 평가했는데, 한국은 25위에 그쳤다.
스위스는 1위, 미국은 4위, 일본은 12위로 우리보다 앞섰고, 중국은 28위였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미래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미래의 고용 전반과필요한 직무역량의 변화에 대해 개인과 기업, 정부의 선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은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보다 성과나 역동성에서 뒤처지는 모습이다.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상장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 연 9.7%였지만 2011~2015년에는 1.8%로 떨어졌다.
반면 일본과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의 2011~2015년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보다 올라갔다.
영업이익률도 한국 기업들은 2015년은 2011년보다 0.4%포인트 떨어졌지만, 일본기업들은 같은 기간 1.0%포인트 올랐다.
역동성 측면에서도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업의 기업교체율은 14.4%로 독일(20.8%), 미국(36.6%), 중국(22.2%)보다 떨어진다.
기업교체율을 보면 신생 기업의 진입과 기존 기업의 퇴출이 반복되며 기업 생태계가 얼마나 역동적으로 움직이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한국은 산업구조 측면에서 특정 산업에 대한 집중도가 너무 높은 모습이다.
정 연구위원은 "중장기적 비전이나 전략 수립 시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미래변화 예측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규제와세제 등에서 기업 친화적 방식으로 전환해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laecor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국의 4차 산업혁명 준비 수준이 세계 25위에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5일 발표한 Ɗ차 산업혁명의 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이란 디지털, 생물학, 물리학 등의 경계가 없어지고 융합되는 기술혁명을 의미한다.
3D 프린팅과 사물인터넷(IOT), 바이오 공학 등의 기술이 융합돼 새로운 기술을창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기술융합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과 유통 비용을 낮춰 소득증가와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계가 사람을 대체하면서 고기술·고임금과 저기술·저임금으로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 향후 노동시장 격차가 커지고 중산층 지위도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노동시장의 큰 변화를 가져올 4차 산업혁명이지만 한국의 준비 수준은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위스계 UBS 은행은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기술 수준,교육수준, 인프라 수준, 법적 보호 등 5개 요소로 4차 산업혁명에 가장 잘 적응할수 있는 국가들을 평가했는데, 한국은 25위에 그쳤다.
스위스는 1위, 미국은 4위, 일본은 12위로 우리보다 앞섰고, 중국은 28위였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미래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변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미래의 고용 전반과필요한 직무역량의 변화에 대해 개인과 기업, 정부의 선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은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보다 성과나 역동성에서 뒤처지는 모습이다.
한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상장기업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 연 9.7%였지만 2011~2015년에는 1.8%로 떨어졌다.
반면 일본과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들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들의 2011~2015년 매출액 증가율은 2006~2010년보다 올라갔다.
영업이익률도 한국 기업들은 2015년은 2011년보다 0.4%포인트 떨어졌지만, 일본기업들은 같은 기간 1.0%포인트 올랐다.
역동성 측면에서도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업의 기업교체율은 14.4%로 독일(20.8%), 미국(36.6%), 중국(22.2%)보다 떨어진다.
기업교체율을 보면 신생 기업의 진입과 기존 기업의 퇴출이 반복되며 기업 생태계가 얼마나 역동적으로 움직이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한국은 산업구조 측면에서 특정 산업에 대한 집중도가 너무 높은 모습이다.
정 연구위원은 "중장기적 비전이나 전략 수립 시 4차 산업혁명을 고려한 미래변화 예측 노력이 필요하다"며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규제와세제 등에서 기업 친화적 방식으로 전환해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laecorp@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