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장 간담회서 파업철회 촉구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1일 고임금을 받는 은행원들이 기득권 유지를 위해 파업을 강행하면 국민의 외면을 받을 것이라며 금융노조에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
임 위원장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ㆍ기업ㆍ국민ㆍKEB하나ㆍ농협ㆍ우리ㆍ신한ㆍSCㆍ씨티은행 등 7개 은행의 은행장을 불러 금융노조파업에 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금융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며 23일 파업에 돌입할 것을 예고했다.
임 위원장은 "금융노조가 논의 자체를 거부하고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수단을 동원한 것은 은행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훼손시킬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해운업과 같은 국가 기간산업이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청년이 일자리를 찾지 못해 10%가 넘는 실업률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고임금을 받는 은행원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사측과의 진지한 대화도 거부하고 파업만 강행한다면 국민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은행장들에게는 노조가 파업을 철회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고 노조가 응하지 않을 경우 직접 나서서 개별직원들을 설득해달라고 요청했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1일 고임금을 받는 은행원들이 기득권 유지를 위해 파업을 강행하면 국민의 외면을 받을 것이라며 금융노조에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
임 위원장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ㆍ기업ㆍ국민ㆍKEB하나ㆍ농협ㆍ우리ㆍ신한ㆍSCㆍ씨티은행 등 7개 은행의 은행장을 불러 금융노조파업에 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금융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며 23일 파업에 돌입할 것을 예고했다.
임 위원장은 "금융노조가 논의 자체를 거부하고 파업이라는 극단적인 수단을 동원한 것은 은행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훼손시킬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해운업과 같은 국가 기간산업이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고청년이 일자리를 찾지 못해 10%가 넘는 실업률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고임금을 받는 은행원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사측과의 진지한 대화도 거부하고 파업만 강행한다면 국민의 외면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은행장들에게는 노조가 파업을 철회할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하고 노조가 응하지 않을 경우 직접 나서서 개별직원들을 설득해달라고 요청했다.
pa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