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설문조사…미국 금리인상·구조조정도 우려시스템 위험에 대한 불안감 확대
금융전문가 10명 중 3명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으로 1천3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금융시스템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System risk) 서베이 결과'를 보면 지난9월27일부터 10월6일 국내외 금융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0%가 금융시스템에서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를 지목했다.
그다음으로 14%가 1순위 위험요인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을 꼽았고 취약업종에대한 기업 구조조정(12%),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10%),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6%) 등이 뒤를 이었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주식, 채권, 외환 등) 참가자 66명,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12명이다.
최근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문제에 경고음을 잇달아 보낸 데이어 금융전문가들의 우려도 크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한은은 지난 1일 발간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민간부채 증가세가가계부채를 중심으로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BIS는 지난 9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민간부채 위험도를 '주의' 단계로 평가했다.
금융전문가들이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을 복수(5개)로 응답한 결과를 봐도가계부채가 가장 많이 거론됐다.
응답자의 70%가 가계부채를 꼽아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51%), 미국의금리 인상(51%), 중국의 경기 둔화(48%) 등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 4월 한은 조사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응답이 54%에 그쳤던 점과 비교하면 6개월 사이 16% 포인트(p) 올랐다.
반면 중국의 경기 둔화는 4월(73%)보다 25%p 떨어졌다.
미국의 금리 인상 문제는 위험요인에 새로 추가됐다.
금융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상은 1년 이내의 단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문제는 중기(1∼3년) 위험요인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위험하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아직 많지 않지만, 위기감은 커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자 응답자의 31%가 '높다'고 답했고 '낮다'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다만,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4월(33%)보다 2%p 낮아졌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선 응답자의 44%가 낮다고봤다.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23%)의 두배에 가깝다.
그러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비중은 지난 4월(15%)에 견줘 8%p나 높아졌다.
중기(1∼3년)에 걸쳐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다'는비중(44%)이 '낮다'(18%)보다 훨씬 높았다.
이 항목에서도 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이 6개월 전보다 0.4%p 올랐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금융전문가 10명 중 3명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위험요인으로 1천3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금융시스템이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시스템 리스크(System risk) 서베이 결과'를 보면 지난9월27일부터 10월6일 국내외 금융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0%가 금융시스템에서 가장 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를 지목했다.
그다음으로 14%가 1순위 위험요인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을 꼽았고 취약업종에대한 기업 구조조정(12%),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10%),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6%) 등이 뒤를 이었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국내 금융기관의 경영전략·리스크 담당 부서장 및 금융시장(주식, 채권, 외환 등) 참가자 66명, 해외 금융기관의 한국 투자 담당자 12명이다.
최근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문제에 경고음을 잇달아 보낸 데이어 금융전문가들의 우려도 크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한은은 지난 1일 발간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민간부채 증가세가가계부채를 중심으로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BIS는 지난 9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민간부채 위험도를 '주의' 단계로 평가했다.
금융전문가들이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을 복수(5개)로 응답한 결과를 봐도가계부채가 가장 많이 거론됐다.
응답자의 70%가 가계부채를 꼽아 저성장·저물가 기조의 고착화(51%), 미국의금리 인상(51%), 중국의 경기 둔화(48%) 등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 4월 한은 조사에서 가계부채에 대한 응답이 54%에 그쳤던 점과 비교하면 6개월 사이 16% 포인트(p) 올랐다.
반면 중국의 경기 둔화는 4월(73%)보다 25%p 떨어졌다.
미국의 금리 인상 문제는 위험요인에 새로 추가됐다.
금융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 인상은 1년 이내의 단기 위험요인으로, 가계부채문제는 중기(1∼3년) 위험요인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위험하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아직 많지 않지만, 위기감은 커졌다.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묻자 응답자의 31%가 '높다'고 답했고 '낮다'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다만,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4월(33%)보다 2%p 낮아졌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해선 응답자의 44%가 낮다고봤다.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23%)의 두배에 가깝다.
그러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비중은 지난 4월(15%)에 견줘 8%p나 높아졌다.
중기(1∼3년)에 걸쳐 금융시스템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다'는비중(44%)이 '낮다'(18%)보다 훨씬 높았다.
이 항목에서도 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이 6개월 전보다 0.4%p 올랐다.
noja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