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지급 실손보험금 13조원…허리디스크 가장 많아

입력 2016-11-22 06:09  

등통증, 어깨병변 순…상위 10대 질병이 25%

3천만명 이상의 국민이 가입해 '제2의 건강보험'으로 불리는 실손의료보험에서 지난 3년간 13조원에 가까운 보험금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보험개발원(원장 성대규)이 2013∼2015년 3년간 장기손해보험과 생명보험전체의 실손보험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천593개 질병에 대해 12조9천855억원의 보험금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코드별로 구분해보면 실손보험금이 가장 많이 지급된 항목은 허리디스크(기타 추간판장애)로, 3년간 9천439억원의 보험금이 지급돼 전체의 7.3%를 차지했다.

허리디스크의 뒤를 이어 등통증(4천359억원·3.3%), 어깨병변(3천340억원·2.6%), 요추·골반 탈구와 염좌·긴장 등 척추 외상(3천194억원·2.4%), 목디스크(3천157억원·2.4%) 등이 보험금 지급이 많은 질병으로 꼽혔다.

분석 결과 전체 지급보험금의 25.7%인 3조3천419억원이 상위 10대 질병에서 발생할 정도로 보험금 지급이 일부 항목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이를 다시 A-Z코드의 25개 질병군별로 분류해 분석한 결과를 보면 근골격계 질환(M코드)에서 지급된 실손보험금이 3조5천532억원으로 가장 많은 27.4%를차지했다.

외상(S코드)에 대해 지급된 보험금이 1조8천360억원(14.1%) 두 번째로 많았고,악성 암(C코드)이 전체의 8.6%인 1조1천162억원을 기록했다.

문제는 이렇게 실손보험금이 많이 지급되는 질병군은 의료기관의 과잉진료를 불러일으키는 비급여 항목의 비율도 높다는 점이다.

보험개발원이 한 보험사의 2013∼2014년 2년간 실손보험금 지급자료 중 비급여청구정보가 입력된 자료의 비급여 기록 71만9천248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근골격계 질환의 전체 청구금액 중 비급여 항목의 비율이 86.9%에 이르렀다.

손상, 외상 질병군(W코드·S코드)에서는 비급여 항목의 비율이 83.6%였고, 악성암 중에서는 청구된 보험금의 70.2%가 비급여였다.

아울러 보험개발원은 실손보험이 청구된 건에 대해 진료비 세부내역을 분석한결과 비급여 항목에 대한 처리 기준도 의료기관별로 달라 혼란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도수치료를 똑같이 시행하더라도 이를 통증도수, 감압도수 등 다른 코드를 사용해 청구하다 보니 서로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는것이다.

보험개발원은 "의료기관은 복지부가 고시한 표준화된 비급여 명칭이나 코드를사용할 의무가 없고, 비용에 대해서도 공시 의무만을 부여받는다"면서 "기관별로 청구 서식이 다르고 명칭도 표준화돼 있지 않고, 청구된 비용도 달라 보험사가 비급여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매년 급등하는 실손보험료를 안정화하려면 늘어나는 비급여 진료에 대한실태 조사와 함께 시장 자율에 맡겨져 있는 비급여 의료비에 대한 관리와 표준화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sncwoo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