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산업노조와 환경시민단체가 행사장에 들어와 단상을 점거하면서 무산됐던 제6차 전력수급계획 공청회가 다시 열린다.
3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공정회는 오는 7일 오후 3시 한전 대강당 한빛홀에서 재개된다.
지경부는 지난 1일 오후 3시 같은 장소에서 공청회를 열었으나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에너지나눔과평화 등 시민단체 회원 50여명이 단상을 점거하고 집회를 열자 "공청회가 정상적으로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행사를 취소했다.
발전산업노조와 시민단체는 당초 행사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벌일 계획이었으나행사 시작 시간이 되자 기습적으로 행사장에 들어와 단상을 점거했다.
이들은 "이번 발전계획이 시행되면 민간 대기업이 발전시설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 전기마저 재벌이 독점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발전 민영화 계획 철회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번에 화력발전사업권을 획득한 기업 중 민간 대기업 수는 8개로 한전 발전자회사(4개)의 배에 달한다.
또 대기업이 보유하게 될 화력 발전용량은 1천176만㎾로 6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될 전체 화력용량 중에서 74.4%의 점유율을 확보하게 된다.
단체들은 최근 한국전력[015760]이 장기간 중단된 경남 밀양지역 魕㎸ 고압송전탑' 공사 재개를 결정한 것에 대해서도 "송전탑 건설로 농지가 강제수용되면 농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데 보상도 제대로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지경부와 전력거래소는 당초 이날 공청회에서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7일 전력정책심의회를 거쳐 계획을 최종 확정·공고하려 했다.
지경부는 관계자는 "무산 사태는 유감스럽지만 각계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한만큼 공청회를 다시 개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bumso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3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공정회는 오는 7일 오후 3시 한전 대강당 한빛홀에서 재개된다.
지경부는 지난 1일 오후 3시 같은 장소에서 공청회를 열었으나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에너지나눔과평화 등 시민단체 회원 50여명이 단상을 점거하고 집회를 열자 "공청회가 정상적으로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행사를 취소했다.
발전산업노조와 시민단체는 당초 행사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벌일 계획이었으나행사 시작 시간이 되자 기습적으로 행사장에 들어와 단상을 점거했다.
이들은 "이번 발전계획이 시행되면 민간 대기업이 발전시설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 전기마저 재벌이 독점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발전 민영화 계획 철회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번에 화력발전사업권을 획득한 기업 중 민간 대기업 수는 8개로 한전 발전자회사(4개)의 배에 달한다.
또 대기업이 보유하게 될 화력 발전용량은 1천176만㎾로 6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될 전체 화력용량 중에서 74.4%의 점유율을 확보하게 된다.
단체들은 최근 한국전력[015760]이 장기간 중단된 경남 밀양지역 魕㎸ 고압송전탑' 공사 재개를 결정한 것에 대해서도 "송전탑 건설로 농지가 강제수용되면 농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게 되는데 보상도 제대로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지경부와 전력거래소는 당초 이날 공청회에서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7일 전력정책심의회를 거쳐 계획을 최종 확정·공고하려 했다.
지경부는 관계자는 "무산 사태는 유감스럽지만 각계의 의견을 듣는 것이 중요한만큼 공청회를 다시 개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bumsoo@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