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1천500여명 참가, 논문 263편 발표
국내 최대의 반도체 논문 발표장인 한국반도체학술대회가 5일 강원 횡성 웰리힐리파크(옛 성우리조트)에서 학계·업계 반도체 전문가 1천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올해로 20회째인 이번 대회에서는 이틀간 에너지 절감, 휴먼 인터페이스, 부품·산업간 연결성에 초점을 맞춘 263편의 반도체 학술논문 발표와 토론이 이뤄질 예정이다.
학술대회장인 박용인 동부하이텍[000990] 브랜드사업 사장은 개회사에서 "산학연관 전문가들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하는 자리로 한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끌 핵심기술을 연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메모리반도체에 이어 아날로그, 센서 등 시스템반도체에서도 세계 1위가 돼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자"고 역설했다.
이번 대회는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에 무게를 둬 지난해보다 강연 수가 늘었다.
학계·업계의 반도체 권위자가 발표하는 초청강연과 패널토론이 각각 4개씩 진행되고, 메모리·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등 산업 전반을 조명하는 반도체산업세미나도 열린다.
이날 개회식과 함께 진행된 기조연설에서는 윤의준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이 '최고의 조명, LED', 이근명 동부하이텍 부사장이 '휴먼 인터페이스와 저전력을 위한 반도체기술 트렌드'를 주제로 각각 강연했다.
6일 반도체산업세미나에는 삼성전자·하이닉스·동부하이텍·실리콘웍스 등 한국 반도체산업 대표 기업의 전문가들이 터치스크린 칩·센서·차세대 메모리 등의최신 기술 트렌드에 대해 발표한다.
시장조사기관인 IHS디스플레이뱅크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근 기술동향과발전방향에 대한 전망을 내놓는다.
젊은 기술인재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특별 이벤트로 '희망강연 문화콘서트'와함께 대학생들이 직접 설계하고 국내외 반도체 파운드리를 통해 생산된 칩을 데모로시연하는 대학생 반도체 설계 경진대회도 열린다.
1994년부터 19년 동안 국내 대학교·연구소·기업 연구원 1만9천여명의 반도체설계·공정·패키징·장비·소재 등에 대한 논문 약 6천900여편이 한국반도체학술대회를 통해 발표됐다.
abullapi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국내 최대의 반도체 논문 발표장인 한국반도체학술대회가 5일 강원 횡성 웰리힐리파크(옛 성우리조트)에서 학계·업계 반도체 전문가 1천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올해로 20회째인 이번 대회에서는 이틀간 에너지 절감, 휴먼 인터페이스, 부품·산업간 연결성에 초점을 맞춘 263편의 반도체 학술논문 발표와 토론이 이뤄질 예정이다.
학술대회장인 박용인 동부하이텍[000990] 브랜드사업 사장은 개회사에서 "산학연관 전문가들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하는 자리로 한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이끌 핵심기술을 연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메모리반도체에 이어 아날로그, 센서 등 시스템반도체에서도 세계 1위가 돼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자"고 역설했다.
이번 대회는 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에 무게를 둬 지난해보다 강연 수가 늘었다.
학계·업계의 반도체 권위자가 발표하는 초청강연과 패널토론이 각각 4개씩 진행되고, 메모리·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 등 산업 전반을 조명하는 반도체산업세미나도 열린다.
이날 개회식과 함께 진행된 기조연설에서는 윤의준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장이 '최고의 조명, LED', 이근명 동부하이텍 부사장이 '휴먼 인터페이스와 저전력을 위한 반도체기술 트렌드'를 주제로 각각 강연했다.
6일 반도체산업세미나에는 삼성전자·하이닉스·동부하이텍·실리콘웍스 등 한국 반도체산업 대표 기업의 전문가들이 터치스크린 칩·센서·차세대 메모리 등의최신 기술 트렌드에 대해 발표한다.
시장조사기관인 IHS디스플레이뱅크도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근 기술동향과발전방향에 대한 전망을 내놓는다.
젊은 기술인재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특별 이벤트로 '희망강연 문화콘서트'와함께 대학생들이 직접 설계하고 국내외 반도체 파운드리를 통해 생산된 칩을 데모로시연하는 대학생 반도체 설계 경진대회도 열린다.
1994년부터 19년 동안 국내 대학교·연구소·기업 연구원 1만9천여명의 반도체설계·공정·패키징·장비·소재 등에 대한 논문 약 6천900여편이 한국반도체학술대회를 통해 발표됐다.
abullapia@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