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반대에도 2년만에 통과…경영권 불씨 잠재울 듯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사내이사 재선임
현대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011200]이2년만에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를 관철해 경영권 분쟁의 불씨를 잠재울 것으로 보인다.
현대상선은 22일 서울 종로구 현대그룹빌딩에서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우선주발행한도를 2천만주에서 6천만주로 늘리는 내용 등을 담은 정관 변경안을 상정했다.
투표 결과 찬성 67.35%, 기권·반대·무효 32.65%로 변경안이 원안대로 의결됐다.
특별결의사항인 정관 변경안을 통과시키려면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과반이 주총에 참석하고, 참석 주주의 3분의 2가 동의해야 한다.
이날 주총에는 전체 지분의 82.69%에 해당하는 주주가 참석해 3분의 2 이상이찬성표를 던졌다.
2011년 주총에서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를 부결시켰던 2대주주 현대중공업[009540]이 또다시 반대의사를 표시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현대삼호중공업과 합쳐 21.97%의 현대상선 주식을 소유한 현대중공업은 "우선주식을 주주 이외의 제3자에 발행하면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과 재산권의 심각한 침해가 우려된다"며 주총 전날부터 반대표 몰이에 나섰다.
반면 현대상선 측은 "현대중공업은 현대상선 경영권에 대한 미련을 버려라"며 "현대중공업을 제외한 나머지 범 현대가 기업들이 주총에서 정관 변경에 찬성할 것을기대한다"고 반대세력 확대를 차단한 바 있다.
이에 나머지 범(凡) 현대가 주주들은 현대건설[000720](7.16%)이 주총에 불참하는 등 대체로 관여를 꺼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바뀐 정관에는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 외에 이사회 결의만으로 제3자에 신주를 배정할 수 있는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어 앞으로 현대상선 경영권을 둘러썬 분쟁의 소지가 줄어들 전망이다.
현대상선에 따르면 최대주주인 현대엘리베이터[017800](23.88%)를 비롯한 우호지분이 모두 47%에 이르지만 현대중공업을 포함한 범 현대가 지분도 32.9%나 돼 매년 경영권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 정관 변경을 통해 앞으로 우선주를 새로 발행하고 우호적인 제3자에 이를 배정한다면 현대상선에 대한 현대그룹의 지배력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날 주총에서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과 유창근 현대상선사장의 사내이사 신규 선임 안건이 원안대로 통과됐다.
이사보수한도를 100억원으로 동결하는 안건은 현대중공업 측의 반대에도 표결을거쳐 65.62%의 찬성으로 역시 승인됐다.
firstcircl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현대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현대상선[011200]이2년만에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를 관철해 경영권 분쟁의 불씨를 잠재울 것으로 보인다.
현대상선은 22일 서울 종로구 현대그룹빌딩에서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우선주발행한도를 2천만주에서 6천만주로 늘리는 내용 등을 담은 정관 변경안을 상정했다.
투표 결과 찬성 67.35%, 기권·반대·무효 32.65%로 변경안이 원안대로 의결됐다.
특별결의사항인 정관 변경안을 통과시키려면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과반이 주총에 참석하고, 참석 주주의 3분의 2가 동의해야 한다.
이날 주총에는 전체 지분의 82.69%에 해당하는 주주가 참석해 3분의 2 이상이찬성표를 던졌다.
2011년 주총에서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를 부결시켰던 2대주주 현대중공업[009540]이 또다시 반대의사를 표시했지만 역부족이었다.
현대삼호중공업과 합쳐 21.97%의 현대상선 주식을 소유한 현대중공업은 "우선주식을 주주 이외의 제3자에 발행하면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과 재산권의 심각한 침해가 우려된다"며 주총 전날부터 반대표 몰이에 나섰다.
반면 현대상선 측은 "현대중공업은 현대상선 경영권에 대한 미련을 버려라"며 "현대중공업을 제외한 나머지 범 현대가 기업들이 주총에서 정관 변경에 찬성할 것을기대한다"고 반대세력 확대를 차단한 바 있다.
이에 나머지 범(凡) 현대가 주주들은 현대건설[000720](7.16%)이 주총에 불참하는 등 대체로 관여를 꺼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바뀐 정관에는 우선주 발행한도 확대 외에 이사회 결의만으로 제3자에 신주를 배정할 수 있는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어 앞으로 현대상선 경영권을 둘러썬 분쟁의 소지가 줄어들 전망이다.
현대상선에 따르면 최대주주인 현대엘리베이터[017800](23.88%)를 비롯한 우호지분이 모두 47%에 이르지만 현대중공업을 포함한 범 현대가 지분도 32.9%나 돼 매년 경영권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번 정관 변경을 통해 앞으로 우선주를 새로 발행하고 우호적인 제3자에 이를 배정한다면 현대상선에 대한 현대그룹의 지배력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날 주총에서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사내이사 재선임과 유창근 현대상선사장의 사내이사 신규 선임 안건이 원안대로 통과됐다.
이사보수한도를 100억원으로 동결하는 안건은 현대중공업 측의 반대에도 표결을거쳐 65.62%의 찬성으로 역시 승인됐다.
firstcircle@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